[학술논문] 베트남 소재 남·북한 관련 자료- 베트남전쟁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
...한반도의 분단상황, 남북한의 경제-사회, 남북한·남북베트남의 관계, 또한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 한국군의 북한 이양 사실까지 다뤘다. 한편, 베트남 전쟁시 북베트남이 발행한 남북한 관련 자료는 상당한 저서 및 회고록들을 포함하며, 이는 주로 북베트남과 북한의 공동연대, 한국전쟁, 북한의 정치, 교육, 문학, 예술, 경제 등을 다뤘다. 베트남 전쟁시기에 남베트남에서는 남북한 관련 회고록이나 저서가 거의 집필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자료들의 비중은 비교적 적다. 북한 관련 내용을 다룬 회고록 및 저서들은 북베트남에서 활발히 출판되었으나, 한반도와 관련하여 북베트남에서 발행된 연구논문은 현재까지 파악한 결과로는 없다. 그러나 남베트남이 발행한 남북한에 관한 연구성과는 현재까지 파악하기로 1970년대에...
[학술논문]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추진 전략
본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정부가 내세우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과 관련하여 남·북한 간의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평화통일의 길로 나아가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 과제에 대한을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남·북한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반영 및 남·북한 협의 전략을 비롯하여 분야별 8대 추진 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남북한의 공동 이익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8대 전략의 추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발전과 지원이 절실하며, 남한 지역만이라도...
[학위논문] 1948年 平壤 「南北朝鮮 諸 政黨·社會團體代表者 連席會義」와 北韓의 統一戰線戰術에 관한 硏究
본 연구는 1948년 4월 19일부터 개최되었던 평양「남북 제 정당ㆍ사회단체대표자 연석회의」가 그 후 북한의 통일전선전술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북한은 통일문제를 토의한다는 명분하에 평양 연석회의를 개최하고 남한의 일부 단독선거에 반대하는 우익 정당 및 정치지도자들의 민족주의적 감정에 호소하여 좌익과 연대하여 회의에 참석케 하였다. 이 회의에서부터 북한은 이미 남한 적화를 위한 통일전선전술을 구사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의 평양 연석회의와 관련된 통일전선전술노선을 주로 문헌조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정치적 분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국은 모스크바 미ㆍ영ㆍ소 3국 외상회의에서 한국 문제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정사항을 발표하였다. 그...
[학술논문] 냉전 시기 남·북한-유럽의 외교관계 비교연구
본 연구의 주제는 냉전 시기(1950-1990) 유럽과 남·북한 외교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유럽과 한반도는 미국의 봉쇄정책과 미·소의 이념적 경쟁이 매우 치열했던 냉전의 현장이었다. 그 결과 유럽은 동·서 분열을 피할 수 없었고;한반도는 전쟁과 분단을 경험해야만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소 중심의 기존 냉전연구의 편중된 공간적 지평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문제의식은 남·북한-유럽 관계가 냉전의 구도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남·북한-유럽 외교 관계가 미·소 대결 구도 속에서 어떻게 대결하고 대응하였는가를 묻는다. 이러한...
[학술논문] 통일에 대한 지각된 편익이 북한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편익, 사회·정치적 편익, 외교적 편익이 통일과 북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고, 나아가 통일에 대해 지각된 편익이 북한의 호기심과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제적 편익과 사회·정치적 편익은 각각 통일에 대한 태도와 북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 다. 또한, 통일과 북한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북한에 대한 호기심을 높이고, 더 나아가 북한관광의도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절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차이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이 높은 사람이 소득이 낮은 사람보다 경제적 편익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여성이 남성 보다, 40대 미만이 40대 이상보다 사회·정치적 편익의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