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북한의 단편소설에서 찾아 본 남한문학의 흔적 - 김관일의 「청년개척자의 수기」와 로정법의 「내 고향의 작은 다리」를 중심으로 -
이 논문은 한시적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였던 1980년대 북한소설에서 남한문학의 흔적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1980년대 북한문학은 새로운 문학의 교지에 따라 현실생활에 맞는 창작물이 대거 창작되기 시작했는데 이때의 소설에서는 종전의 문학에서 볼 수 없었던 개인의 갈등과 욕망이 분출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당시 북한에서는 남정현의 「분지」, 이문구의 「해벽」,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황석영의 「객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김지하의 「오적」, 홍희담의 「깃발」, 방현석의 「새벽출정」 등 반미의식과 민중항쟁, 통일 열망을 다룬 남한의 문학작품이 출판될 만큼 문학의 수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아래 창작된 작품 중 김관일의 「청년개척자의 수기」와 로정법의 「내 고향의
[학술논문] ‘코리아문학’의 통일·통합 (불)가능성 : 남북 문학 교류의 역사와 과제
...교류의 역사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남북 작가·문학의 소통·교류가 시도된 것은 1961, 1989, 2005년 세 차례였다. 4.19혁명 후 북한 작가들은 민족문학의 명분 아래 문학 교류를 제안했으나 5.16 쿠데타로 무산되었다. 1989년 황석영 등의 노력으로 남북작가회담이 적극 추진되었으나좌절되었다. 그때의 교류 계획과 협력의 청사진은 ‘민족작가대회’(2005)와 ‘6.15민족문학인협회’ 결성(2006) 및 기관지 『통일문학』 간행(2008)으로 실현되었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과 남한의 보수정권 때문에 더 이상의 교류는 중단되었다. 이제, 평화체제로 가는 길목에 선 2018년의 정세변화에 맞춰, 문학 교류의...
[학술논문] 1990년대 초 문예지의 ‘통일’ 담론과 북한문학 전유방식 비판 :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과의 매체사적 대화
...‘통일’ 담론을 두고 북한 문예지 『조선문학』은 어떻게 자기 방식으로 통일 담론과 ‘남조선문학’을 전유했는지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단 70년 동안 유독 이 시기에만 상대 문학작품을 통일의 일환으로 집중 소개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시기 남북한 문예지에 남북 작가 교류와 공동 창작 등 통일을 위한 수많은 노력이 동시에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남북 문학의 통일을 위한 문화정치적 의미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남북한 문인들이 ‘통일’ 담론의 미적 전유과정에서 자기중심으로 통일하려고 헤게모니 쟁투를 벌이는 데 문학 또는 문예지를 활용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남한 문학장에 지각 소개된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학술논문]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 : 총서 ‘불멸의 력사’와 남북문학 교류의 전망
이 글에서는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라는 논제를 다루었다. ‘총서’로 명명된 방대한 분량의 장편소설이 어떻게 북한의 대표적인 문화정전으로서의 위상을 구축했는지, 이를 어떻게 읽고 이해하며 수용할 것인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북한 문학의 성격과 ‘총서’의 기원적 양상과 관련하여 해방 직후 북한의 초기문학에서 소련식 문학제도의 정착에 주목하는 한편, 레닌의 「당조직과 당문학」이 사회주의적 문학 제도의 근거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 글에서는 ‘총서’의 ‘문화정전’으로의 지위와 성격은 1956년 종파사건 이후 당과 군을 장악한 김일성의 절대유일체제와 김일성 김정일에 의한 ‘담론의
[학술논문] 남북한의 ‘통일문학’지와 통일문학선집의 비판적 분석-북한학에서 한반도학으로
이 글에서는 한반도 남북의 문학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지 가늠하기 위해서 기존의 ‘통일문학’ 잡지와 ‘통일문학선집’을 비판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일문학’ 제호의 잡지는 1989, 2002, 2008년 3차례 간행되었다. 북한의 조선작가동맹 통일문학분과 기관지(1989∼2007, 통권 75호)는 이북 중심이고, 남한의 서울평양문화교류협회 문예지(2002∼2007, 통권 9호)는 이남 중심이어서 둘 다 자기중심적 산물이라 한계가 있다. 2008년에 창간되어 3호까지 간행된 6․15민족문학인협회 기관지가 남북 작가들이 합의해서 편집한 유일한 문예지로, 통일문학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마찬가지 논리로 2003년에 나온 ‘통일문학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