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기준 위계 연구
...연구의 목표는 선행 연구 분석과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실례 분석을 통하여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에 필요한 10개기준의 위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계를 설정하는 데 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사용하였는데, 우선 논리적 근거란, 기준의 필요성의 정도에 따른 것이다. 투명성과경제성을 가장 높은 위계에 둔 것은 학습 효과가 높기에 그런 것인데, 투명성이 의미의 적확성을 나타내어서 근간이 되는 것이므로 투명성의 위계가 경제성보다 더높다. 고유성은 한국 자존적 문제와 남북한 공히 선호한다는 이유로 높은 순위로설정되는데, 경제성과 고유성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위계로 두었다. 친숙성은 높은 학습 효과와 사용성 검증이라는 강점이 있으나 남북한의 친숙성이다를 수 있다는 약점이...
[학술논문]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 기준에 관한 연구 - 초ㆍ중등 교과서를 중심으로 -
본고는 남북한 초ㆍ중등 교과서의 전문용어를 통일할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을 남북한 전문용어 통일의 실례에 적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용어 정비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투명성, 경제성, 고유성, 일의성, 일관성, 국제성, 문법성, 생산성, 친숙성, 윤리ㆍ미학성’의 10가지 기준으로 선정하고 용어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의 정의ㆍ특성ㆍ선정 근거ㆍ실례 적용을 다루었다. 투명성이란, 그 용어만 보고서도 용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경제성이란, 음절수가 짧은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고유성이란, 고유어인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의성이란, 한 용어가 한 개념에 대응되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관성이란, 개념의...
[학술논문]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해당하는, 관련 교과 전문 용어 혹은 개념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4장에서는 고등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1) 학술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 2) 교육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을...
[학술논문] 남북 교과서의 외래어 사용 양상 분석–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남북한 중등 교육 과정 중 음악과 미술 교과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분석하여 남북 간 표기 양상의 차이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래어 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한과 북한은 외래어 표기에서 각각 독자적인 규범을 발전시켜 왔으며, 이는 언어의 형태적 차이뿐 아니라 외래어 차용 경로에서도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남북한 교과서에서 추출한 음악, 미술 분야 외래어 전문용어 231개의 대응 쌍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표기 방식의 규범적 차이와 차용 경로의 배경을 밝힌다. 분석 결과, 남한은 주로 영어와 이탈리아어에서 차용한 외래어가 많았으며, 북한은 러시아어와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북 모두에서 발음 및 음운 표기에 대한 규범적 차이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