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년대 전반기 북한의 대미접근: 미국조선친선공보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북한의 타국 협력자들은 북한과 외교관계 발전, 반미 연대 강화, 주체사상전파, 통일정책의 지지확대, 남한과 외교경쟁에 있어 중요한 지원군이었다. 대미 외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미국공산당은 대표적인 협력세력이었다. 1970년대 북한은 미중관계개선 국면에 편승해 다각적인 대미접근을 추진했다. 그 일환으로 북한은 미국공산당과 협력해 미국조선친선공보센터라는 대미 선전기구를 미국 내에 조직했다. 공보센터는 미국의대북 적대 정책 철폐, 주한미군 철수 등 한반도 문제에 있어 북한의 입장을 적극 대변하고 동시에 대미 접근에 있어 미국 내 북한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있었다. 선전이 주된 방식이었지만 대중들을 통한 대 의회접근과 같은 공공외교활동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상위 차원의 대미 접촉이 순조롭지...
[학술논문] 1960년대 한국-우간다 의료 외교의 전개와 의미
...Diplomacy)의 기원을 조망한다. 1964년 한국인 의사의 우간다 파견은 국제 정치 질서와 남북한의 외교 경쟁, 우간다의 의료 인력 부족이라는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한국 외교가 제3세계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료 협력을 외교적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한 사례였다. 이 파견은 남북한이 우간다에 외교사절을 동시에 상주시킨 이례적 상황 속에서 남한이 외교적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었으며, ‘의료 인력 수출’의 최초 사례가 되었다. 우간다 사례는 이후 본격화된 한국의 아프리카 의사 파견 정책과 차별성을 보여준다. 첫째, 우간다 의사 파견은 수원국의 공식 요청과 재정에 기반하였다. 이는 한국 정부가 주도한 1968년 이후의 ‘정부파견의사’ 제도와는 구분되었다...
[학술논문] 냉전 시기 남·북한-유럽의 외교관계 비교연구
본 연구의 주제는 냉전 시기(1950-1990) 유럽과 남·북한 외교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유럽과 한반도는 미국의 봉쇄정책과 미·소의 이념적 경쟁이 매우 치열했던 냉전의 현장이었다. 그 결과 유럽은 동·서 분열을 피할 수 없었고;한반도는 전쟁과 분단을 경험해야만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소 중심의 기존 냉전연구의 편중된 공간적 지평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문제의식은 남·북한-유럽 관계가 냉전의 구도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남·북한-유럽 외교 관계가 미·소 대결 구도 속에서 어떻게 대결하고 대응하였는가를 묻는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