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중학교 『국어』의 시 교육 내용과 작품에 대한 고찰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poems in ‘Korean’ textbooks of North Korea middle school, and desirable direction of poetry education for South-North coexistence. In 2012 Chief Kim Jong Un has advocated new educational reform policy that included expanding compulsory education and enhancing technical training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ne sense, we can read that they
[학술논문] 21세기 북한 연극 읽기-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극은 한층 입체적이다. 김정은 시대 극중 인물은 다시 군인으로 선회하지만 개성 있는 인물구축을 발견할 수 있다. 다음 연기적 측면에서 보면, 김정일 시대의 특징은 낭만주의적 움직임과 희극성의 강화라 할 수 있다. 당시 ‘신사고’ 문예방침에 부응하는 일면이라고 볼 수 있다. 김정일과 김정은 후계 시대의 연기는 사실주의적 연기가 발견된다. 무대 자체가 사실적이어서 제4의 벽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사실주의적 연기가 가능해진 것이다. 김정은 시대 연기의특징은 시낭송과 음악의 적극적 수용으로 낭만주의, 사실주의, 슈프레히콜 양식의 혼용이다. 김정은 시대 ‘과학기술’과 ‘새로운 형식과 틀’에 대한 요구가 이와 같은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학술논문]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개념과 원리 등의 지식의 습득과 함께 이를 적용 심화하는 학습도 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었다. 문학 영역의 경우, 조국과 공동체에 대한 충성과 노동의식 고취라는 사상교육을 최우선의 교육 목적으로 삼고 있고 3대의 걸친 김 씨 일가의 업적과 풍보에 대한 찬양의 내용이 많은 점은 과거부터 계승해 온 특징인 반면, 새 교과서에서는 그와 같은 이념적인 내용이 다소 축소되었고, 문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익히도록 지식을 중시하였으며, 문학 영역을 다른 언어 사용 영역의 국어활동과 통합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발표와 창작, 낭송과 연행을 강조하며 기본적인 작품 수용 활동을 반복적으로 하도록 하며, 그 바탕 위에서 심화된 학습 활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밖에도 아동 문학 작품도 많이 활용하는 점이 특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