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일 3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탈북자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32%의양성률을 보였다. 91명에서 anti-HCV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20 명이 양성 소견(21.98%)을 보였으며 이들 중 16명이 HCV RNA 확진 검사 결과 양성 소견을 보여 17.58%가 만성 C형 간염환자였다. 전체 환자 중 16명이 결핵(폐외결핵 포함)으로 진단받아 9.47%의 유병률을 보였고 이들 중 8명(50%)은 일차약제 중 한 가지 이상에 내성을 보였다. 연구 대상자 169명 중17명이 대장내시경이나 대변검사를 시행하였는데 7명(41.18%) 의 환자에서 기생충이 발견되었다(6명이 편충[trichuris trichiura], 1명이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결론: 하나원을 통해 단일 3차 기관에 내원한 탈북자들중에는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안과와 소화기내과에방문한 환자가...
[학술논문]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관아의 위치를 상세히 그린 지도의 기능을 하면서도 수려한 자연풍경을 회화의 산수화법으로 표현한 地圖山水體 그림이다. 19세기 이후에는 기성도 병풍에 대한 수요층이 확대되면서, 평양이라는 주변 경관과 기록 혹은 기념을 목적으로 한 회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본고에서는 ‘平壤箕城圖’에 투영된 조선시대 후기 평양의 실제 모습을 통해 부성(내성), 중성, 외성, 그리고 북성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한 결과, 외성 성벽의 구조에 대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북한 측에서는 평양성은 모두 석축으로 되었다고 하나, 문헌과 지도에서는 토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기록된 사실과 대비된다. 또한 북성의 우마성은 고려 대몽항쟁기의 甬道가 병자호란을...
[학위논문] 북한의 부패에 관한 연구 : 부패유형 변화와 제도적 원인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부패를 발생시키는 동인 중에 정치 제도와 경제 제도와의 연관성 검증에 있어서 북한에 등장하는 제도의 성격은 ‘통제의 강화와 이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정치 제도와 경제 제도는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책의 방향에 맞게 제도가 등장하는데 이러한 강화와 이완의 반복적인 제도의 등장은 북한 주민에게 제도 등장에 대한 내성(tolerance)을 가지게 하여 제도의 성공기회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패턴을 가지는 제도의 등장은 북한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부패의 확산효과를 이끌었고, 부패유형 변화에 제도의 등장이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북한의 정치 제도인 김일성과 김정일 현지지도에서 언급한 반부패 관련 노작을 기초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이한...
[학위논문] 對北支援事業의 産業構造에 따른 類型別 硏究 : 14개 廣域地方自治團體를 中心으로
...집중적으로 살펴보면 F산업에서는 주로 건축자재를 지원하는 F41산업(종합건설업)이 A산업의 경우에서는 주로 농자재를 지원하는 A01산업(농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Q산업에서는 북한주민의 질병이 심각한 점을 감안하면 산업의 비중에 비해 중요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5.24 조치 이후 경기도와「유진벨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한 북한주민의 다제내성결핵환자 지원사업은 지속성이 요구되는 사업이라고 평가된다. N산업은 남북한 간 호혜적 사업으로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육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즉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말라리아 공동방제 지원사업 등은 지속성이 요구되는 사업으로 평가된다.다섯째 지자체의 대북지원사업이 북한주민들의 실질적 삶에 도움을 주고 북한주민의 대남인식 변화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하였음을...
[학술논문] 유도탄 탄내케이블 브레이드 제거에 따른 고찰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 심각한 안보 위협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휴전선에서 수백 Km 떨어진 상공에서도 평양 등 북한 지휘부 건물과 핵시설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의 해외 도입과 국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개발을 위한 여러 설계 요소 중 유도탄 경량화를 위한 탄내케이블 브레이드를 제거하고 이에 따른 성능을 예측 및 분석하였다. 브레이드 제거에 따른 탄내케이블 뭉치 내부의 누화 (cross-talk) 및 군사 EMI 규격인 MIL-STD-461F의 내성(conduction susceptibility) CS114 및 방사(radiated emission) RE101 규격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브레이드 제거 가능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