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과 중국 농업집단화 소설의 애정서사 비교 연구―천세봉의 『석개울의 새봄』과 호연의 『맑은 하늘』을 중심으로
... 소설의 애정문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음을 볼 때 이러한 접근이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가 될 수 있다. 사실 두 소설은 당의 문예정책에 호응하는 농업 집단화 제재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남녀 간의 애정에 농후한 관심을 가진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애정서사는 내용상 사회주의서사인 텍스트의 중심적인 전략에 비해 주변적이고 삽입적인 인상을 주는 까닭에 중요한 서사적 기능을 감당함에도 불구하고 연구에서 배제되거나 중시를 받지 못하고 있다. 농업 집단화를 다룬 전경화 된 플롯에 숨겨진 애정서사의 전개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적 서사전략을 파악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This paper deals with the linguistic movement by the ethnic Korean residents of the Soviet Maritime Province, approaching it as a part of the Korean cultural independence movement. This movement by the Korean settlers and their descendants is understood to constitute one of the roots of the linguistic radicalism of the social DPRK's first formative years. Such possibility may be confirmed by the
[학술논문] 총유(總有) 제도를 매개로 한 남북한 소유권 법제통합 방안
남북한 소유권 법제통합에 관하여 기존 논의가 제시하는 ‘몰수 후 재사유화’ 방안은 북한의 소유제도를 토대로 삶을 영위해 온 북한주민을 세심하게 배려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민법」상 총유(總有) 제도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사회주의적 소유와 총유가 그 연원 및 내용상 유사하다는 사실을 밝혀, 북한의 사회주의적 소유를 총유의 일 유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로써 남북한 소유권 법제통합에 있어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하여 대한민국 규범을 북한지역으로 확장 적용하면서도 북한주민을 세심히 배려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필요한 시효취득과 등기에 관한 법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한편...
[학술논문] 미술 교과서로 이해하는 북한 미술교육
... 주체 103 미술 교과서에서 어떻게 내용상으로 학습 목표;평가;기술의 방식 등이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체 103 초급중학교 2학년 미술 교과서는 흑백의 교과서에서 컬러로 변화되었고 해상도가 높아져 시각적 인지도가 확연히 좋으며 교과서의 분량이 60쪽에서 113쪽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서술 방법의 기본 방식과 문장 사용 방법이 학습자 중심으로 개정되었고;각 단원 말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생활적 련관성”을 기본으로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타인과의 관계를 표현하도록 유도하고;스토리텔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 내용을 목차 중심으로 귀추화 해보면 실상 전체 구조의 변화는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화의 근본적 사상;즉 조형적 형상을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생동하게...
[학술논문] 행정법 일반원칙으로서 부당결부금지원칙에 관한 소고 ― 독일 행정법에서의 역사적 전개 및 적용영역을 중심으로 ―
...사이의 결부작용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① 반대급부의 특정 목적성 ② 반대급부의 공적 임무 이행가능성 여부 ③ 반대급부의 상당성 실체적 관련성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방행정절차법 제56조에 따른 공법상 계약 특히 교환계약에 있어서 부당결부금지원칙에 대해 연방행정법원의 2000년 5월16일자 판결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이 판결을 통해 제56조 규정의 내용상의 문제점과 다양한 의문점들이 제기되었다. 독일 행정법은 공법상 계약(행정계약) 영역 이외에도 행정행위 부관 부과 그리고 행정사법상 계약체결에 있어서 판례와 문헌을 통해 부당결부금지 원칙에 관한 발전된 논의들을 지속하고 있다.
지금껏 성문화된 규정이 없이 존재하던 한국 행정법은 2021년 3월 「행정기본법」 제정 및 공포를 통해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