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점과 태도로서 ‘內在的 發展’의 形成과 1960년대 동북아시아의 知的 네트워크
관점과 태도로서 ‘내재적 발전’은 1960년대 들어 3국의 현실과 조응하며 더욱 숙성해 갔다.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 수립의 합법칙성을 해명하는 차원에서 조선사의 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민사관을 규명하고 비판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식민사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자신의 새로운 역사상을 모색해 갔다. 상대적으로 일본의 조선사연구회 회원들이 한국의 한국사 연구자보다 더 철저히 식민사관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일본의 재일조선인과 일본인 연구자는 북한과 남한의 학문을 연결하는 매개자였다. 북한과 일본 간의 네트워크는 조직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상대방의 학문적 성과에 대한 검토도 공식적이고 체계적이었다. 남한과 일본의 연계는 직접적, 개별적 관계가 중심이어서 전면적인 검토가 제대로...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의미와 평가
...군사력에 대한 강조는 여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병진노선이 경제의 희생 위에서 국방력 강화에 집중했다면, 김정은의 병진노선은 핵억제력에 의해 평화가 보장되게 되면 그만큼 경제건설에 기여할 수 있다는 논리로 경제발전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물론 현실적으로 북한의 경제발전이 국제사회의 지원과 자본 유입 없이는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핵개발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이루겠다는 북한의 주장은 사실상 실현불가능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내재적 모순에도 북한은 체제안정을 위해 수사적 차원에서라도 병진노선의 기조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병진노선을 계속 유지할 것에 대응하여 일관된 원칙을 가지고 남북 간에 신뢰를 형성하는 한편으로, 북한이...
[학술논문] 역사 교과서 논쟁과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 이윤갑, 「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길 찾기: 민족주의 역사학의 전망」 『한국학논집』35, 2007, p.29. 그들이 지향하는 바는 명백하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근대적 문명의 핵심적 요소들을 수용하고 확산시키는 데 북한은 실패하고 남한만이 성공했고, 따라서 북한이 선택한 내재적․자립적 근대화 노선을 지향하는 민중적 민족주의 역사학의 한국근현대사 인식은 부정되어야 하고 대신 남한이 선택한 종속적 근대화 노선을 합리화적인 역사발전체제로 정립해야 한다. 위의 논문, p.44. 이 계보선상에서 역사 교과서 논쟁에 뛰어든 뉴라이트의 ‘신자유주의사관’을 살피는 동시에 더욱 절실한 것은 시대의 변화를 담아 혁신의 길을 제시할 수 있는 대안적 사관에 대한 모색이다. 그것은 공공성의 위기를 논할...
[학술논문] 朝鲜弹道导弹开发提速对半岛局势的影响及 中国的应对
2016년 이후 북한은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실험을 빈번하게 감행하고 있다. 그 결과 미사일 기술과 핵탄두 개발에서 상당한 기술발전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내재적인 결함 역시 존재하고 있다. 보다 분명한 것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및 핵능력 고도화가 한반도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으며 미국의 대북정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둘러싼 북미 간 갈등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며 이에 따라 한반도 정세 역시 더욱 복잡해지고 민감해질 것이다. 한반도문제와 관련된 주변국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반드시 주의 깊게 관찰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중국은 반드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한반도 주변 정세변화를 긴밀히 주시하고, 북핵문제에 이해를 갖는 관련국들이 정치적 해결의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인간중심철학의 대두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북한종교정책의 변화가 주체사상 형성의 키워드로 작용한 인간중심철학의 등장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었음을 논증하고, 이를 전후로 하여 북한 사회에 있어 종교에 대한 인식과 정책상의 변화가 뚜렷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내재적, 실증적 접근을 통해 북한종교정책의 변화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북한 사회 내 현상적 변화와의 관련성 해명을 북한체제의 작동원리로 인지되고 있는 주체사상의 변화과정과 대비시켜 양자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이에 입각하여 본 논문은 6·25 한국전쟁 이후 북한종교정책의 가시적인 변화가 태동되기 시작하는 1972년을 분기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