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태준, 최대다수의 행복을 꿈꾼 민주주의자 - 해방 이후 이태준의 사상과 문학
...토지혁명의 과정과 그 정당성을 기술한 소설 <농토>(1947)를 통해 표현하였다. 하지만 중간파는 기본적으로 점진적 사회 개혁을 지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계급투쟁을 통한 급격한 변혁을 당연시 하는 공산주의자들과는 다른 위치에 있었다. 더욱이 1948년 남과 북에서 두 개의 국가가 성립되고, 남과 북의 지도자들이 무력적 수단을 통한 독립을 주장하는 분위기 속에서 이태준과 같은 중간파가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었다. 한국전쟁 직전에 출판된 <먼지>(1950)는 표면적으로는 남과 북의 대결에서 인민주권을 토대로 한 북한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내적으로는 점진적이고 평화적인 방식을 통한 통일독립국가의 건설이 불가능하며 이를 지향했던 중간파의 역사적 임무가 종결되었음을 시사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 비평형 열역학적 접근
...내부의 지지 메커니즘 그리고 2016년 초 북한의 제4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이후 전개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와 후속조치들이 북한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엔트로피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여기서는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외적 적응(adaptation)과 내적 지지(support)의 두 차원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요컨대,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내적 지지 수준과 외적 적응 능력의 함수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김정일에서 김정은 체제로 이어지고 있는 북한 정치체계의 지속성의 원천을 살펴보고,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엔트로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환경에의 적응 능력과 체계 내부의 지지 산출의...
[학술논문] 반역의 상상력 -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저항성 연구
...개발독재 정권에 저항하였다. 그 중에서도 1968년을 전후하여 창작된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은 현실층위의 서사를 날실로, 환상층위의 서사를 씨실로 교직해나가는 전략을 통해 개발독재에 저항하는 방대한 서사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글은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환상층위의 서사에 내포되어 있는 정치적 저항성의 의미를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서사 내적 논리를 통해서 고찰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소설의 환상서사의 중심에 놓여 있는 ‘반역’은 추상 관념에 대한 은유보다는 정치적 코드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작가의 분신인 ‘나’를 반역 혐의로 체포하는 주체가 5․16세력이라는 암시는 60년대 후반 국민의 무의식을 지배했던 반역죄의 공포가 누구에 의한, 누구에 대한 것인지를...
[학위논문]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인간은 신체적이며 정신적이며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존재이다 한 개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족과 개인 등 다양한 체계와 의미의 연결망 안에서 인간은 상호주관적인 존재로 살아가면서 독특한 자기를 형성하게 된다 탈북여성의 폭력 경험과 그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내적 세계인 생물심리학적 체계뿐 아니라, 그녀들을 둘러싼 환경적인 체계와의 관계 안에서 이해하는 생태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van Manen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론과 James Poling의 신학방법론을 기반으로 탈북여성의 폭력경험에 대한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드러난 주제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생태체계학적 관점에서,...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과정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이 직업적응 과정에서 지각한 ‘직업적응’의 개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요인으로는 ‘개인의 내적 동기’, ‘개인의 심리적 특성’,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요인 중 ‘죽음과 맞바꾼 자율적 삶을 위한 탈북 의지’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북한에서 경험한 출신 성분 제도의 굴레를 끊고 남한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바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남한 사회의 직업인으로 정착하기 위한 중요 요소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