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칭 상황’― 변화하는 한국 민족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조건
한국사회에서도 잉여와 ‘인간쓰레기’를 양산하는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속성이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와 함께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런 다문화사회적 특성은한국 민족주의를 새로운 방식으로 위계화할 가능성을 농후하게 가진 것처럼 보인다. 여기에 ‘
냉전의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한반도에서 탈북자를 양산하는 북한의‘정체성의 정치’는 기아 난민을 대량으로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남한에 정착하고 있다. 하지만 남한에 정착하는 탈북이주자들은 다문화사회적 변화의흐름 속에서 남한 사회의 하위 위계를 구성하는 데 일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과연 대규모 이주로 특징지어지는 전지구화의 시대에 이주민을 토대로 하는 원거리 민족주의가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