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노인의 힐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자기표현을 통한 개인 적인 성장 경험’, ‘탈북과정의 심리적 상처치유’, ‘남북한 주민에 대한 보편적 이해와 정체 성 통합’, ‘일상 스트레스 탈피’, ‘사회적 관계 욕구충족’, ‘고향에 대한 향수를 달램’ 이다.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 도출된
힐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노인 맞춤형의 ‘
힐링 내용’, ‘
힐링 프로그램의 운영방식’, ‘
힐링 프로그램의 고려사항’ 등이다. 마지막으로 북한 이탈
노인의
힐링의 의미와
효과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논의하고 북한이탈
노인용
힐링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