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간에 따른 사건 전개 및 긴장 정도 추이 연구 - KBS 뉴스의 {북한}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n the progression of an event and the degree of tension considering time series. For this purpose, the thematic word {Bukhan} has been analyzed in the KBS News 9, which broadcasted from 2001 through 2013. {Bukhan} has the high frequency of use, but each time the frequency deviation is very wide. For instance, the frequency of {Mikuk} is much higher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북한 보도동향과 북한 도발과의 연관성 분석
본 연구는 통일부에서 매월 발간하는 북한의 보도내용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여 핵심단어 사전을 구축하고 시계열 분석을 통해 북한 도발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08년부터 ’15년까지 북한의 보도내용을 월별로 묶어 96개월의 문서를 만들어 단어 빈도수, 단어와 문서 상관성, 감성분석 등을 통해 보도내용의 부정 및 긍정 표현들로 핵심단어 사전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핵심단어들을 월단위 시계열 분석을 하여 과거 북한 도발 사례와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 물리적, 비물리적인 북한 도발 발생 전․후로 부정 및 긍정 핵심단어의 월별 경향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북한의 보도내용의 경향이 북한의 도발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논문] 조선손말 형태론적 분석
본 연구는 조선손말 단어 2,463개를 분야, 품사, 행태소별 분류를 한 뒤, 각 분류별 출현 빈도와 단일어와 복합어의 조어 유형을 밝히기 위하여 형태론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손말 단어별 분야는 모두 21가지로 정치 분야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다. 품사는 9가지로 그 중 명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조선손말의 형태소는 모두 4가지로 1형태소가 78%로 가장 많았으며, 양손 수어가 한손 수어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양손 수어 단어에서 비우세손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8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한국수어와 일치하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조선손말 단일어의 조어 유형은 5가지로 분석되었으며, 복합어 실현 시 특정한 규칙 없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조어되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학술논문] 북한수어의 수형 분석
북한수어의 수형 유형과 출현 빈도, 남북한 수어의 수형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391개의 북한수어 단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수어의 수형은 모두 70개, 변이형은 21개가 발견되어, 한국수어의 최근 수형 분석 결과와 유사하였다. 둘째, 북한수어의 고빈도 출현 수형은 9형, 1형, 주먹형, 편손형, 지정형, 5형, 6형, 전화형, 2형붙임형, 북둥글다형 순이었으며, 저빈도 수형은 D형, 3형검지굽힘형, 4형굽힘형엄지편형, 8형, 8형굽힘형, 10형, 북보천보형, 북사카린형, 북싹형, 북예리하다형으로 저빈도 수형은 1회만 출현하는 수형이었다.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고빈도 출현 수형은 서로 유사하였으나, 저빈도 출현 수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남북한 수어의 수형 일치도를 분석한...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스탠다드 재즈에서 자주 나타나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빈도가 늘어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단조 곡에서의 5도권 화성진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부속7화음의 사용 빈도 역시, 시대가 바뀜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에는 그 빈도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천리마운동 등에 따른 다수의 선전・선동가요가 보급된 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교술적인 가사는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므로 음악적 다양성의 추구는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 이후 부속7화음 소재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수화음들의 사용은 매우 드물지만, 그러한 화성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화음의 자리바꿈 사용에 있어서 2000년대 이후 사용 빈도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시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