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및 우리나라 독자적
대북 제재 조치로 인해
위탁가공 거래 단절과 탈입지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북중 접경지역에 출경가공무역 제도의 도입은 중국 내수 시장 기반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 그동안
대북
위탁가공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했던 역할을 중국기업들이 대신하면서 북중 접경지역의
대북
위탁
가공
네트워크의 지리는 더욱 복잡하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중 접경지역 랴오닝성 단둥시에 입지하고 있는
대북
위탁가공 업체들을 사례로 이들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접경지역이 갖는 예외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형성은 북한의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한 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