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분단시대 ‘對遊擊隊國家’의 등장
...인식과 경험은 새로운 국가체제 수립을 주도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일제 식민지시기 국방국가론 학습을 통한 국가체제 인식과 ‘공비토벌’이란 경험은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자의 결합을 가능케 한 요인이 1960년대 베트남에 군사적 개입을 본격화한 미국의 동아시아 냉전정책이다. 한국 군부는 대공유격전 승리와 근대화론을 연계하여 파악하는 케네디 정권의 동아시아 냉전정책과 미군의 대유격전론을 학습하며 대유격전과국가발전계획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파악하기 시작했다. 1972년 박정희 정권의 유신헌법 선포로 완성된 국가는 1930년대 만주국에서부터 베트남전까지 이어지는 대유격전의 경험과 국가체제 인식이 켜켜이 쌓여 등장했다는 점에서 ‘
대유격대국가’로 명명할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