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방예산 10년 평가와 중기 운용정책
한국의 국방예산 규모는 5년마다 바뀌는 정부의 안보・국방정책 기조, 군사소요, 경제여건 및 재정능력에 따라 증감을 반복해 왔다. 야심차게 시작된 참여정부의 국방개혁은 재정적 뒷받침이 부족하여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하였고, 이명박정부에 와서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방비 수준이 더욱 낮아졌다. 박근혜정부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점점 고조되는 북한의 도발위협과 2015년에 예정된전작권 전환에 동시에 대비하는 한편, 안보・국방 분야의 공약이행을 위한 재원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중기 소요 국방비를 안정적으로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방예산 의사결정 집단 간 안보위협 인식과 대처방식에 관한 전략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국방부의 핵심 소요문서인 국방중기계획 내실화 및 구속력 강화가 요구된다.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소비생활 정착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본 연구는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어떤 심리사회적 과정을 거쳐 남한의 소비생활에 정착하게 되는가를 질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소비생활 정착과정에서의 경험을 이해하고 소비자로서의 대처방식과 맥락적, 중재적 조건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 청소년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북한이탈 청소년의 소비생활 정착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에서 ‘기대가 컸던 한국이주’라는 인과적 조건을 통해 ‘소비자무력감’이라는 중심현상이 발현되는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무력감으로는 획득자로서의 어려움, 구매자로서의 어려움, 배분자로서의 어려움이라는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학술논문] 한부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적응 어려움과 대처 방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is study i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f North Korean Refugees’ coping styles i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helping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this study, 100 North Korean Refugees were sampled and surveyed. The analytical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학위논문] 북한남성이 겪은 국가폭력 트라우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러시아 파견 탈북노동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두고 온 가족에 관한 이산의 상실감, 그리움, 허무감, 죄책감이 나타났다. 북한 정권과의 관계에서는 두려움과 불안, 도피심, 억압된 분노가 이중적으로 나타나는 한편, 북한 정권의 권력과 힘을 지나치게 절대화하는 태도도 나타났다.
셋째, 북한남성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체험에 대한 대처방식은 소극적, 적극적인 방식이 모두 나타났다. 소극적 대처방식으로는 회유, 회피, 굴복, 일탈의 4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반면 희망적 사고, 최선을 다하는 태도와 같은 적극적 대처방식도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남성이 경험한 국가폭력 트라우마에 관한 체험-영향-대처 모형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러시아, 북한노동자, 북한남성, 국가폭력, 트라우마,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