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과에서 북한이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일고: 북한학 연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그 중 북한이해교육은 모학문인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그동안 통일교육에서의 북한이해교육은북한을 왜 다루어야 하고 북한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야 하며 북한에 대해 어떻게 가르쳐야하는가를 다루는 교육이다 이를 위해 북한문제에 대한 연구의 전문화와 특성화를 위해 새롭게 등장한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와 북한이해교육을 연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의 하위 영역으로 실시하는 북한이해교육과 북한학의 상보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학의 대두 배경과 학적 정립의 과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도덕과에서 실시해온 북한이해교육의 변천을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해교육이 나아갈...
[학술논문] 두 가지 힘(Power) 개념과 미국의 북한학-북한학의 마키아벨리주의(Machiavellianism)와 스피노자주의(Spinozism)-
이 글은 최근 미국 내 북한학의 새로운 성과라고 할 수 있는 ‘힘’에 대한 두 연구인 수지 김(Suzy Kim)의 『북한 혁명의 일상생활』과 찰스 암스트롱(Charles K. Armstrong)의 『약자의 독재』를 대상으로 이들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이 글에서 말하는 ‘힘’이란 두 가지 변별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수지 김이 북한의 건국기의 일상생활을 연구함으로써 시도하는 것은 스피노자주의적 힘, 즉 “힘/역능(potentia; puissance; power)”의 재구성이고, 찰스 암스트롱이 부시 행정부의 도덕주의적인 대북정책을 비판하면서 제안한 것은 마키아벨리주의적인 “힘/권력(potestas; pouvior; Power)”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