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 상속제도의 방향과 법교육
.... 에서는 통일의 선례라 살 수 있는 독일의 통일 전 서독, 동독의 상속제도와 통일후 상속제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입법례로서 참고한다. Ⅴ.에서는 상속제도에 대한 기본내용 및 연혁, 독일의 입법례 등을 토대로 통일시대 상속제도 변화방향에 대해 다루고, 이러한 상속제도하에서 법교육의 역할에 대해 다룬다.
[학술논문] 재통일 전후의 독일의 정치교육 경험과 그 시사점
...정치교육은 정치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독일은 근대적 의미의 국가로 통일된 19세기 후반부터 제도적인 정치교육을 시작했고, 시대별로 특성을 가지는 정치교육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독에서의 정치교육은 민주주의적 기초를 수립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보이텔스바흐 합의 및 뮌헨 선언과 같은 사회적 합의에 따라 이루어진 원칙에 기초하여 학교 교육의 차원에서 또는 연방과 주의 정치교육원이 주도하는 차원에서 정치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정치교육의 방향은 재통일 이후 구 동독 지역의 주민들에게 자유민주주의 사상을 이식하기 위한 정치교육을 수행할 때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통일 조약에 따라 구 서독의 체제가 구 동독 지역에도 그대로 이식됨에 따라 정치교육의 원칙...
[학술논문] 남․북한 통일대비 사회통합을 위한 직업교육의 역할 탐구 - 통일 독일의 사회적 통합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선험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동독과 서독지역의 직업교육의 차이와 통합 추진 체계 과정 분석은 물론, 통합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동·서독 각자 직업교육의 특별한 여러 차이점 속에서도 이원화제도라는 유사한 하나의 체제를 공통점으로 찾아 협력하면서 노동시장의 통합과 경제적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직업교육정책을 이끌었다. 그러나 경제사회적 통합을 위한 서독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동독지역이 이를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나타나 정책실폐의 결과를 보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남·북 통일을 대비한 차원에서 진정한 내적통합을 이루기 위해 북한 주민들의 자립, 자활을 촉진시키고, 노동시장의 안정화와 경제생활을 이끌어갈 수 있는 직업교육의 효과적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학술논문] 독일통일 후 구동독지역 성인정치교육의 성과와 한계
본 연구는 독일통일 후 구동독 지역에서 실시한 성인정치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남북통일 후 북한주민 대상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동독주민들은 통일과 함께 구동독지역에 이식된 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체제에 대한 이해와 그에 관련된 지식, 정보의 습득을 위한 정치교육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통일 후 구동독지역에서 실시된 성인정치교육에서는 새로운 체제에 대한 이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법, 제도 등의 내용을 다룸으로써 구동독 주민이 새로운 체제에 적응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구동독지역의 성인정치교육은 구동독주민의 정치교육에 대한 무관심, 구동독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내용 선정 등의 한계로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 1990년대는 1民族·1國家·2制度·2政府’를 주장하며 聯邦制통일의 漸次的 完成의 이론적 변화를 보였다. 즉 統一의 接近方法에 있어서 南韓은 漸進的인 機能主義的 接近方法을 取하여 온 반면, 北韓은 聯邦主義的 接近方法을 取해 왔기 때문에 相互合意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7.4공동성명이후 南韓과 北韓의 통일정책을 機能主義대 聯邦主義 통일 정책으로 二分化하는 것은 지나친 單純化의 危險이 있다. 즉 北韓의 統一政策이 軍縮問題, 南北統合軍 창설 등 政治的 統合에 주력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10大 施政方針’에서 보듯이 남북간의 經濟. 科學. 文化. 敎育. 交通. 遞信분야에서의 交流와 合作의 증대를 모색한다는 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