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기 칼라영화의 형성과정과 특징(1950-1957)
...증거이다. 기록영화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예술영화도 칼라로 제작된다. 1956년 최승희의 무용극을 필름에 담은 정준채 연출, 오웅탁, 박경원 촬영의 사도성의 이야기가 그 시작이었다. 사도성의 이야기의 성공적인 칼라기술 접목에 이어 1957년 김락섭 연출, 박병수 촬영으로 심청전과 조소합작영화로 제작된 형제(
동방의
아침)가 천상인 연출, 고형규 촬영으로 완성되었다. 특히 조소합작영화인 형제는 북한문예계의 큰 관심을 받으며 만들어졌으나 정치적 스캔들로 비화되어 앞선 영화들과 달리 혹평을 받아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영리를 목적으로 한 자본주의 영화계와 달리 사회주의 체제 하의 북한에서 칼라영화의 제작은 정치적 스펙터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