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접경지역의 지원법제와 법정책적 활용방안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남북한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과거 분단국가였던 독일의 접경지역 지원정책과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은 법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 완화, 생활 인프라 확충, 일자리 창출 등 지역주민의 실질적 체감 효과는 제한적이며, 지역 간 불균형과 인구 감소 등의 구조적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졸고에서는 서독의 「접경지역지원법(Zonenrandförderungsgesetz)」과 통일 이후 추진된 그뤼네스 반트(Grünes Band) 생태보존사업을 중심으로, 접경지역의 정책 설계, 제도 운영, 주민 참여, 국제 협력, 생태·문화적 활용 등 다양한 측면을 비교·분석하였다...
[학술논문] 남북한 접경지역의 감염병 및 자연재난 협력에 관한 연구* : 동서독 협력 사례와 비교하여
...감염병과 자연재난에 대한 협력을 통해 공동 대응한 사례는 현재의 남북 상황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동서독은 접경지역의 상설기구인 ‘접경위원회’를 설치하여 보건·의료, 환경, 자연재해 등 전 분야에 대해 협력체계를 구축하였고, 1973년 「재난공동대응협정」을 체결하여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감염병, 환경, 재난을 최우선적으로 대응하여 상호 신뢰 구축과 군사적 긴장완화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동서독의 접경지역 협력 사례를 토대로 남북한 접경지역의 감염병과 자연재난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을 통한 신뢰회복과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남북 접경지역 교류·협력과 관련한 법규의 구체화 및 규범력 부여, 둘째, 남북 접경지역 협력을위한 상설조직 구축,...
[학술논문] 남북한 접경지역과 재난협력 연구 - 동서독 국경위원회의 접경지역 재난협력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남북한 접경지역에서의 재난협력 모색을 위해서 Martinez의 접경이론 관점에서 동서독국경위원회 사례를 분석하였고, 한반도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artinez의 접경이론에서 보면, 동서독 접경지역은 ‘소외국경지대’에서 ‘공존국경지대’로 점차 변화하였고, 다시금 ‘상호의존적 국경지대’로 발전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독일통일을 통하여 ‘통합지대’로 변모하였다. 이에 비해 한반도 접경지대는 진전과 후퇴를 거듭해오면서 교류와 단절을 병행해 오고 있다. 8·15해방 직후부터 6·25전쟁 전까지는 어느 정도 국경이 개방되었던 ‘공존국경지대’였으나, 한국전쟁의 발발과함께...
[학술논문] 남북 접경지역의 감염병 협력 방안: 동서독 교류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남북한 접경지역 및 DMZ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말라리아,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등 DMZ 이북에서 전파되는 감염병과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대응책 마련과 남북한 교류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 단체에서 추진한 남북협력 사례와 각종 문헌연구를 통해 그동안 남북한 보건⋅의료 교류 협력 사항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동서독의 접경지역에 교류 모델을 고찰하여 이를 남북 접경지역에 적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한다. 연구 결과는 동서독의 접경지역 협력 사례를 참조하여 남북 접경지역위원회 설립과 남북 보건의료 협정을 체결하여 남북 접경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과 자연재난 등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과거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의 문제점으로 제기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