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과학]
... 그러나 북한은 2023년 말 이후 남북한은 적대적인 ‘두 개의 국가’라는 주장을 하기 시작했다. ‘철저한 타국’이자 ‘불변의 주적’으로 확고히 간주한다고까지 했고, 핵 무력을 사용한 전쟁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북한주민의 일상생활에서 통일과 민족 관련 단어들을 금지했으며, 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는 ‘헌법’ 개정도 했다.
이와 같은 북한의 ‘두 개의 국가’ 주장은 지난 80여년 동안의 인식과는 완전히 반대로서 향후 남북관계의 근간을 바꿀 수 있는 주장이다. 따라서 ‘두 개의 국가’ 주장의 핵심 내용과 의도에 대해 살펴보고, 한반도 통일에...
[정치/군사]
...개의 전략 목표로 나누고 각각의 전략 목표 아래서 개별적인 전술(과제)이 어떻게 인식 및 수행되고 있는지 고찰했다.
최근 러시아의 공세적인 대외‧군사 행동은 푸틴 대통령이 추구하는 러시아의 대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전술적 행위다. 러시아의 대전 략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 하나는 다극 세계 질서 실현이며, 또 하나는 세력권(sphere of interests)의 확보이다. 푸틴과 오늘의 러시아가 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는 이들 두 개의 대전략으로 수렴되며, 그 안에서 입안되고 추진되고 조율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푸틴 러시아의 대전략은 그들 나름의 철저한 세계 질서 인식의 산물이며, 그 근저에는 지정학이 놓여 있다. 따라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 정책결...
[통일/남북관계]
...주요 분석 내용은 첫째, 남북 분단과 숙적관계의 탄생이다. 둘째, 냉전기 남북 숙적 관계의 유지와 전개이다. 셋째, 탈냉전의 충격과 남북 숙적관계의 새로운 지속에 대한 구조와 특성 규명이다. 넷째, 정책적 고려 사항이다.
주요 연구결과, 남북한 숙적관계 특징을 규정하는 가장 시초적 문제 는 1945년 미소의 분할 점령에 의해 분단된 한반도가, 국제 냉전의 심화 과정에서 1948년 두 개의 국가 정치체로 수립된 것이다. 이 두 개의 정치체는 사상과 제도를 달리하는 두 개의 국가시스템으로 정립되었고, 국가시스템이 자리 잡지도 못한 1950년 대규모 전쟁을 치렀다. 즉, 남북 숙적관계는 2차대전 종전 과정이 야기한 동북아 지역 국제관계의 재편 과정에서 탄생했다.
...
[사회/문화]
..., 분석, 당면한 현실을 통해 적용 가능한 남북한 복지통합 계획 아래, 통일복지라는 거대한 ‘판’을 디자인하는 데 일조하고 싶었다.
이 책의 부제가 ‘엑스(X)자 시소’인 것은 그만큼 남북한 사회복지가 서로 너무 다르게 얽혀 있고 이것을 통합하고자 하니 마치 두 개의 시소가 서로 엇갈리게 엑스(X)자 모양으로 놓여 있는 것과 같다는 생각에서 다소 현학적인 표현을 하게 되었다. (머리말 中)
[정치/군사]
... 통일이라는 세 가지 시선에 담았다. 분단이 있기에 ‘북한’이 있고 통일이 있다. 도드라지진 않지만 내용 중 일부는 자전적 흐름을 띠기도 하며, 롤러코스터와 같은 한반도 열차에 직접 탑승한 분단시민들에게 열차의 출구는 어디인지, 서로의 이름은 무엇인지를 담담히 묻고 있다. 이 책의 전반을 관통하며 지정학적 차원의 ‘두 개의 한국’을 규정짓는 개념은 경계이다. 남과 북이 상대를 신뢰하지 못하게 하는 그 힘은 1945년 8월 남과 북 사이에 경계가 그어지던 순간부터 시작되었다.
제1부는 분단에 대한 경계적 시선을 다루고 있다. 먼저 저자가 통일부 서기관 시절 상주대표로 근무했고 임기 후에는 학자로서 미완의 숙제로 받아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문제로 시작하여...
[학술논문] 연변 지역의 귀국화교사회와 북한화교사회의 상관관계 및 역사성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1950년대부터 진행된 화교들의 귀국과 정착이고 다른 하나는 화교들의 북한 국적 취득 또는 조선인과의 결혼이다. 해방 전후 북한화교들이 종사한 업종을 살펴보면 주로 면포와 비단업이다. 그 외 야채 재배를 중심으로 한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가마 공장, 토목건축 및 광산 개척 등 영역에서 활동하였다. 1980년대부터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으로 많은 화교들은 중국과 북한을 오가며 보따리 무역 혹은 규모가 큰 변방무역업에 종사하고 있다. 현재 북한의 화교자녀들은 11년의 의무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북한화교인수의 격감으로 화교 학생 수는 크게 감소되었으며 화교학교도 눈에 띠게 줄었다. 현재 북한에는 화교학교가 13개 있는데, 그 중 화교중학교가...
[학술논문] 푸에블로호 사건을 둘러싼 북한과 미국의 접근
This study used the declassified documents and the process-tracing method to analyzed how Johnson administration's initial reaction and perception toward NorthKorea regarding the Pueblo incident had changed. Johnson administration's initial decision-making on the Pueblo incident had been dominated by the Cold War paradigm.The U.S.gave priority to the possibility of a plot between Soviet and
[학술논문] 북한 제한핵전 위협과 한미동맹 억제체계: 통합억제 관점의 평가와 발전 방향
본 연구는 북한의 제한핵전 위협이 현실화되는 전략 환경에서 한미동맹의 억제체계를 평가하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억제이론 중 ‘통합억제’ 개념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제도적 기반과 실행 역량이라는 두 가지 평가 관점을 설정한 뒤, 총 일곱 개의 세부 평가 기준을 도출하여 현행 억제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미동맹은 제한핵전이라는 복합 위협에 일정 수준 대응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고 있으나, 전략·작전·정책의 연계, 핵·재래식 통합 결심, 연합 정보 판단 등 여러 측면에서 제도적·운용적 미비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는 전략 기획·작전의 절차적 일체화를 위한 제도 정비...
[학술논문] 북한 경제의 재구성 - part II : 『근로자』와 『경제연구』 등 북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같은 경제 전문지에서 자신들이 시기마다 처해 있는 경제 실상과 이것에 대처하는 정책에 대한 논의를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정성적(qualitative)인 자료들을 분석하여 북한 경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두 개의 연결되는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자립적 경제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던 북한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1986년 전면적개혁 조치라고 할 수 있는 연합기업소체제를 구축한다. 첫 번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연합기업소체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는 1986년까지『근로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때까지 형성된 북한 경제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으며 두 번째 논문은 1987년부터 출간된 『경제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합기업소체제가...
[학술논문]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와 민족문화축제
...한중수교 이후, 서탑은 조선족집거지에서 조선족과 한국인, 북한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코리아타운으로 발전했다. 현재 서탑에는 조선족사회 외에 700개의 한국인상회, 5천명의 한인거주자가 있으며 식당과 사우나, 은행, 잡화점, 가라오케, 태권도장들이 성업 중이다. 북한사람들이 운영하는 10여 개의 식당들도 있다. 심양의 한민족단체와 민족문화활동은, 1) 1988년에 창립된 심양조선족련의회가 후원하고 1948년에 설립된 심양조선족문화예술관이 조직하는 심양시조선족문화절과 2) 2000년에 창립된 심양한인회(2003년에 심양한국투자기업협회와 통합 심양한국인[상]회로 개칭)가 2002년부터 개최하는 심양한국주간 행사가 대표적이다. 민족문화축제와 관련하여 심양의 조선족사회와 한국사회는 20년 이상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