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2세, 한민족 이주자,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자의 삶이 문학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그동안 다문화소설연구는 재현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에 치우친바 본고는 서사구조, 갈등양상, 이주자 묘사 및 상징기법, 공간적 특징 등 형식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서사구조는1990년대
여행
서사와 2000년대 이주서사가 결합된 ‘
디스토피아적
여행서사’ 구조를 지닌다. 동화와 소외, 억압과 폭력이 중심주제인 다문화서사는 탈북디아스포라와 이주여성이 등장하는 인신매매·이주매춘서사, 결혼이주여성이 출현하는 여성수난(잔혹)서사, 이주노동자가 나타나는 에스닉노동·제노포비아서사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의 성숙을 그린 다문화성장서사 등 다채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