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북러관계:신제국주의 질서론을 중심으로
...‘신제국주의 질서’(Neo-Imperial Order)로 규정하고, 이러한 질서 하에서 러시아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정책, 북러관계의 구조적 함의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냉전・신냉전적 이념 대결 구도나 단편적 이슈 중심 분석에 머무른 데 반해, 본 논문은 러시아의 비서방 병렬 권역질서 구축전략의 일환으로 북러관계를 재조명한다. 이를 위해 신제국주의 질서론을 이론적 중심축으로 삼고, 구조적 현실주의, 전략적 제휴 이론, 지역주의 이론을 보완적으로 적용하였다. 분석 접근법으로는 구조–행위자 접근, 시기구조적 비교, 다자–양자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러시아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한반도 및 북한을 동북아 병렬 권역의 핵심축으로 편입시키는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북러관계는...
[학술논문] 시진핑 방한으로 본 중국의 한반도 전략과 한중관계
동북아에서는 미중의 대립관계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동시에, 일본의재무장, 러시아의 동북아지역에 대한 관심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제조와 보유에 대한 문제가 항상 큰 이슈 일 것이다. 중국의 강대국화에 대비한 미국의 중국 봉쇄정책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다. 중국의 꾸준한 경제성장과 국력신장은 중국대외정책의 발전과 외교력의 신장을 보였다. 이번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중국외교의 새로운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중국은 중국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한반도의 안정과 중국과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중국은 성숙된 외교를 펼치며 한국 국민에 다가가려는 노력도 경주했다. 앞으로 한반도의 안정과 발전은 한국이 어떻게 한미관계, 한중관계 및남북한관계를 이끌어가는가에 달려있다. 한중관계의 발전과 한미관계의공고화는 한국이...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4D작전[탐지(Detect)·교란(Disrupt)·파괴(Destroy)·방어(Defense)]의 적용이 하나의 사례다. 한국은 미국의 군사전략과 국익 변화, 중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과 더불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육ㆍ해상 실크로드) 구축,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변화 등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해야 될 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세계전략을 포함한 동북아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우리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미국의 군사전략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미래 과학기술력 트렌드 분석과 국방과학기술력 증진이라는 점에 주된 관심을 두고 우리의 정책대안 설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4D작전[탐지(Detect)·교란(Disrupt)·파괴(Destroy)·방어(Defense)]의 적용이 하나의 사례다. 한국은 미국의 군사전략과 국익 변화, 중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과 더불어 일대일로(一帶一路, 육ㆍ해상 실크로드) 구축,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러시아의 대한반도정책 변화 등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해야 될 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세계전략을 포함한 동북아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따르는 우리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미국의 군사전략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미래 과학기술력 트렌드 분석과 국방과학기술력 증진이라는 점에 주된 관심을 두고 우리의 정책대안 설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러시아의 세계화 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도 9월에 열린 동방경제포럼에서 “러시아의 자원과 아시아의 기술이 조화를 이루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극동지방의 경제발전 가속화를 위한 협력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협력확대를 위한 경제포럼으로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렸다. 또 다른 모습에서는 국경선을 마주한 인접국으로서의 지정학적 조건과 한반도에 대한 다중적 수준의 국익 그리고 동북아 지역에서 전통적 영향력을 확보하고자 함으로 비쳐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본 글에서 푸틴 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 기조와 전략을 그의 세계전략과 동북아 전략의 시계열(時系列) 상에서 고찰한 후, 푸틴의 러시아가 추구하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구상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러시아를 한반도 평화구도 정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