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러, 자폭드론∙대형 무인기 공동 개발 생산 나설 듯
앵커: 북한과 러시아가 드론 공동 개발을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북한이 러시아 자폭 드론의 양산 능력을 키워 실전 배치할 경우, 한반도를 비롯한 주변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분석입니다.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스] “미일 정상회담, 역내 평화∙안보에 유익∙∙∙북중러 위협에 3국 공조 강화될 것”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 비핵화와 미한일 3국 공조를 강조한 미일 정상회담이 한반도와 역내 평화와 안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점증하는 중국과, 북한, 러시아 등의 위협에 맞서 미한일 3국 협력은 더욱 심화∙강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스] “북한군 파병 사실이면 우크라전 양상 바뀔 수도…한반도 위협 증가도 불가피”
북한이 러시아 지원을 위해 병력을 파견했다고 한국 정보 당국이 확인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사실일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을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반도 안보 위협을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ㅍ 기자가 보도합니다.
[뉴스] "美에 체제 보장 받으려던 北… 러 밀착이란 새 생존길 찾아"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파병에 나서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지형도 요동치고 있다. 북한 김정은은 러시아에 무기·병력을 보내는 ‘베팅’을 통해 상당한 경제·군사적 반대급부를 챙기고, 장기적으로 ‘유사시 러시아의 한반도 개입’을 확약받을 것으로 보인다. 본지는 보수·진보 정부에서 외교안보 정책을 담당하거나 조언한 전문가 4인에게 북한 파병의 의미와 한반도 안보에 미칠 영향 등을 물었다.
[뉴스] “북한군 파병으로 확전 가능성 커져…러시아 대가 지불로 한반도 안보 위협 증가”
미국 등 국제사회가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공식 확인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를 전쟁 확대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참전 대가로 러시아에게 받을 여러 지원이 한반도 안보 위협을 증가시킬 것이라면서, 한국도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본격 나서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치/군사]
...한국의 핵자강에 반대하거나 우호적인 해외 전문가들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설득해야 하는 대상과 연대해야 할 대상을 식별하고 있다. 16장과 17장에서 켈리(Robert Kelly), 이대한, 란코프(Andrei Lankov)는 미국 설득 방안을, 18장에서 리소테츠(李相哲)는 일본 설득 방안을, 19장에서 김흥규는 중국 설득 방안을, 20장에서 란코프는 러시아 설득 방안을, 21장에서 모틴(Dylan Motin)은 영국과 프랑스 설득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22장에서 이백순은 핵무장한 한국의 국제적 책임과 기여를 논의한다. 23장에서 심규상은 한국의 여러 기관이 수행한 핵무장 여론조사를 비교, 추적하고 있다. 24장에서 임명수는 한국의 핵자강에 반대하는 국내 전문가들의 주장을 분석하면서 그들의 주장이 상황변화에...
[통일/남북관계]
《한반도 문제 해법》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다루고 있다. 남북 관계와 국제 협력 차원에서 한반도 문제를 심층 분석하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 남북 협력의 필요성과 국제사회의 역할을 강조하며,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법을 제안한다. 특히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들의 역할과 그 중요성을 상세히 분석하여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통일/남북관계]
...대안’이라는 제목으로, 비서구 학자들이 탈식민주의 관점을 통해 고찰한 평화 연구를 중심으로 기존 평화학에 내재한 오리엔탈리즘 혹은 유럽중심주의를 분석하였다. 남북한 관계에 천착해 온 유경석은 ‘정전 70년: 미국의 패권정책과 뒤틀린 한반도 평화’라는 제목의 글에서 남북한간의 대결/교류 역사를 개괄하였고, 북한 전문가인 오종문은 ‘한반도의 봄을 위한 경제적 상호의존의 증대와 평화 구축’ 이라는 제목으로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의 비례관계를 통계수리학적으로 분석했다. 프랑스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신만섭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뒤틀어진 한일관계’라는 제목으로, 이 조약의 재설정이 한일관계 정상화의 초석이며 ‘동아시아 공동체’...
[경제/과학]
...변화라고 평가하는 해석과 전략적 변화라는 해석에 대해 정리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두 개의 국가론’은 수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용하지 않는 것이 훨씬 더 이익이라고 판단된다.
 제5장에서는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 4강의 인식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를 대상으로 김영삼 정부에서부터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통일과 관련한 각국 정상의 공식 발언에 대 해 정리한 후 각국의 입장에 대해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을 재고찰하고 주변국으로부터의 효과적 지지 획득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민족공동체...
[정치/군사]
“한반도 전쟁의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포린 폴리시》)
심화하는 미중 갈등부터 내부 정치 균열까지,
북한은 왜 전쟁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가?
★한반도 전쟁 발발 시나리오 5가지
★국내 최고 미래학자 최윤식 박사 신작
★트럼프 2.0 시대 국내외 정세 심층 분석
 ‘북한 입장에서 전쟁은 자살 행위다.’ 한반도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해 흔히 나오는 반응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위험 정도가 다르다. 전 세계 전문가들은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학술논문] 러시아내 전문가들의 한반도 안보문제 인식과 함의
...목적은 한반도 관련 문제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해야 할 러시아내전문가들의 연구내용과 주장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특성과 의미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인식의 차이를 서로 줄일 방안을 모색하여 양국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토록 하는 데 있다. 러시아 싱크탱크들의 한반도 관련 종합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 전문가들은 한․러 관계 발전이 미래 러시아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크고 외교안보 분야에서의 전략적 관계 심화가 한국에게는 통일 지지 세력으로, 러시아에게는 극동발전과 동북아내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한국주도 평화통일이 국익 관점에서 러시아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등한국에 대한 우호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러시아 전문가들의 경우...
[학술논문] 2011년 정상회담 이후 러·북관계: 러시아의 대북 인식 분석
러시아와 북한 간의 관계가 2011년 정상회담을 통해 변화가 모색되기 시작하여, 2014년을 기점으로 양국관계가 경협을 중심으로 밀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제시하면서, 러시아의 통일관 및 대북인식이 러시아 내에서 몇 개의 그룹의 분화되어 개진되고 있으며, 2014년 이후 북한에 가장 유화적인 의견을 가진 정치집단 및 전문가 그룹의 의견과 사실상 일치하는 정책을 푸틴정부가 구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북한에 대한 러시아 내 의견집단은 대체로 ‘친북’, ‘중도’ 및 ‘반북’의 입장을 가진 세 그룹으로 분류가능하다. 러시아 국내 집권 세력의 향배 및 러시아의 대미 관계의 흐름에 따라 북한에 대한 정책...
[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제기하였고, 이어 한반도 군사문제 해결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과 주변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입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북한 평화관과 주변국의 평화체제에 대한 상이한 입장을 고려해 볼 때, 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된 주요 이슈와 그 대응방법 모색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해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전협정, 주한미군, 한미동맹, 북핵문제, 군비통제를 주요이슈로 과제를 설정하여 이를 평화체제와 관련지어 그 대응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냉전기 미북주도의 한반도 군사질서를 탈냉전기...
[학위논문] 南北韓 統合過程의 葛藤管理에 관한 硏究
...소요됨으로서 조속히 진행될 필요가 크다.
다섯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급격한 제도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고, 적응기간을 주기 위하여 충분한 사전적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역별로 남북한의 전문가들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제도통합에 관한 쟁점을 논의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제도통합과정에서 겪게 될 부작용을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대외적 차원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국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이들이 우리 정부의 통합방안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교적인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북핵문제가 국제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의 우방관계를...
[학술논문]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대한 러시아의 전략적 입장
...대한 러시아의 태도와 입장을 분석 하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 그래서 북미 협상 과정에서 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비핵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구심과 논란, 협상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와 주장 들을 변수로 하여 이를 ① 완전한 비핵화로 합의가 이루어지는 과정, ② 불완전한 비핵화로 합의가 이루어지는 과정, ③ 동결된 대화․협상 상태(현상 유지)로 이르는 과정, ④ 협상 결렬․중단으로 이어지는 과정 등 4가지로 유형화하여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전략적 차원에서 자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정책적 의지에 따라 동북아와 한반도 내 영향력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미협상에 대한 러시아의 단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