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논문 : 역사인식 속에서의 냉전 - 북한 역사학계의 러시아사 이해
...가리키는 것이고 후자는 객관적인 요인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스탈린 시대에 스탈린이 역사해석의 권한을 독점했듯이 이 두 요소를 결합시킬 수 있는 권한은 주체사관의 핵심인 수령에게 있다. 따라서 북한 역사학은 스탈린주의 역사학에 그 근본을 두고 있고, 주체사관이 표방되고 있는 요즈음도 스탈린주의 역사학의 중요한 측면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력사사전과 몇 종의 고등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통하여 북한 역사학계가 소련사를 포함한 러시아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본다면, 이 점은 명확히 확인된다. 그 내용을 러시아 혁명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보자면, 북한 역사학은 러시아 혁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나 인물에 대해서는 과거 스탈린시대처럼 민족주의적인 기준들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심지어 일부 차르들에...
[학술논문] 한국사사전 편찬의 역사와 과제
...본격적인 한국사사전은 李弘稙의 國史大事典(上·下)(1962· 1963)이다. 이 사전은 이후 (增補)새國史事典(1999)까지 재판과 개정을 거듭하여 나왔다. 그리고 柳洪烈이감수한 國史百科事典(1975)도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최근에는 교학사에서 10권으로 한국사대사전을 편찬간행하였다. 북한에서는 1971년에 력사사전(1971)이, 그리고 이를 개정한 제2판이 1999~2004년에 나왔다. 20세기에 들어 한국사사전은 꾸준히 간행되었다. 초창기에 소사전에서 출발한 한국사사전은 점차 백과사전을 표방하여 방대한 분량으로 간행되었다. 그 동안의 한국사사전은 개인이 편찬하거나 출판사를 중심으로 일부 학자들이 참여하는 형태를 띠어 항목 선정이나 내용에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