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설화 <마십굴> 전설의 서사를 통한 분단서사의 극복 가능성 고찰
...주목한 경향이 있다. 하지만 북한의 설화에 대한 연구가 ‘통일’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차이를 부각시키는 일보다 남북한의 설화 연구가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찾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인다. 그러한 생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북한 구전문학계에서 주요한 자료로 여겨지고 있는 <마십굴> 전설을 소개하며, 그 서사가 지닌 힘이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마십굴>의 서사는 심층적인 차원에서, 현재 남북한의 분단 상황을 고착시키고 있는 분단서사의 일면을 보여 주는 지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논의를 통하여 분단서사를 극복하고 통합서사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아울러 북한 설화를 연구하는 이들에게는 이후의 연구 방향에 하나의 제언이 될...
[학술논문]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후기단계인 기원전 12세기 전후, 동굴무덤의 전통을 고수하던 사람들이점차동굴에서벗어나는현상이벌어진다. 이와동시에태자하유역을중심으로한요동북부지역에서는 새로운 무덤양식인 석관묘전통이 시작되는데 원시형태의 석관묘들이 동굴무덤내부에서도 확인되며 양자의 출토유물이 동일함을 통해볼 때 초기의 석관묘유적은 마성자문화에속할수있다. 이처럼태자하유역의마성자문화가점차동굴바깥으로벗어나는과정중인접한大洋河流域에서 雙砣子3期의 고인돌문화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봉성 동산유적에서는 고인돌의 주요특징인 덮개돌을가지면서, 묘실 구조와출토유물은동굴무덤의전통을 유지하는개석형고인돌이 축조된다. 이후 개석형고인돌이 本溪 大片地유적과 開源 建材村유적을 걸쳐점차주변지역으로확산되는과정중기원전7세기를전후한시점대동강유역으로까지전파된것으로 볼 수 있겠다
[학술논문] 시진핑 정부의 아시아 신안보관(亚洲新安全观)과 동북아 주변외교 전략
...강력한 대응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현 시진핑(习近平) 정부가 이전 후진타오(胡锦涛) 정부의 외교 노선과 달리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외부에 확실히 인식시키고, 국제사회에서 책임감을 높임으로서 미국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지위와 발언권에 대해 부정하는 집단은 아무도 없다. 중국은 이미 대국으로의 굴기를 마치고 세계무대에서 책임 있는 대국으로서 새로운 세계질서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입장에 서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중국은 자국의 외교 안보 영역에서 이미 구체적인 노선과 전략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그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대(对) 아시아 외교 안보 노선이 바로 본 논문의 주된 키워드인 아시아 신안보관(亚洲新安全观)이다...
[학술논문] 중화인민공화국 고고학의 대외교류와 문화재 외교의 개황(槪況)
...제3세계 국가 및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연대를강조하는 당-국가의 외교 방침에 발맞추어 북한, 알바니아 고고학계와 긴밀히협력, 교류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은 국가 내부의 이해관계와 배치되는 경우종종 실질적인 결실을 보지 못하곤 했다. 문화대혁명(1966~1976) 시기, 국내정치의 혼란 속에서도 고고학계는 더디게 국내 발굴 작업을 이어갔으며, 이때의발굴 성과는 이후 1970년대 두 차례의 대형 문화재 전시를 통해 국내외에 선보였다. 이들 전시는 1970년대 미국과의 긴장 완화 이후 새로 형성된 외교적 국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건국 이후 30년간 발전시켜 온 중국마르크스주의 고고학의 성과와 이론을 비사회주의 진영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되기도 했다. 전시 및 학술 교류를 통해 중국 고고학의...
[학술논문] 민통선이북지역(DMZ) 서부평야 일대의 수생태계 생물다양성 및 군집 특성
...잠자리목26종(20.80%), 비곤충류가 22종(17.60%), 노린재목 11종(8.80%)이 채집되어 정수성 저서무척추동물의 분류군들이우점하였다. 섭식기능군은 잡아먹는 무리(51종, 56.67%)가 높게 나타나 습지성 형태의 무리들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서식기능군은 기어오르는 무리(33종, 24.44%)가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한 하상에서 나타나는 굴파는 무리(17종, 12.59%)도 다소 높게 출현하였다. 이는 유속이 느린 서식처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분류군간에 동종포식을유발하여 생태계의 교란이 심각해 질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환경평가의 ESB 값은 S13지점에서 82점으로 최우선보호수역으로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지역에서 수질 III등급의 α-중부수성으로 오염이 심각한 환경상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