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장백산보호개발구관리위원회’라는 지방정부를 신설해 백두산의 보호·개발·관리·이용을 일원화했다. 이와 아울러 중국정부에서는 백두산을 중국의 세계자연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백두산 =만주족의 발상지”라는 논리를 주창하고 그것을 확산시키기 위해 전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만주족의 조상을 모신 사당(청조사)을 세워 국내외 관광객에게 백두산이 만주족의 뿌리임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리고 백두산사당(장백산신사)을 세워 청대 황제들의 백두산 제사행위를 재현해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 민족적·문화적 연고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결국 ‘백두산의 중국화’를 위한 중국의 전략적 조치들은...
[학술논문] 중국과 한반도에서의 ‘민족’ 개념의 인식과 갈등구조
...인식을형성하게 되었는지 그 차이점을 비교하고, 남북한과 중국 지역에 내재된갈등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동아시아 문명권이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과 함께 기존의 왕조체제가붕괴되고 근대주권체제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중국에서는 ‘중화민족론’이, 한반도에서는 ‘단일민족론’이 형성된다. 중국은 청 왕조가 몰락하면서 지배층인 만주족에 맞선 한족 중심의 중화민족관이 형성되지만, 한족 중심의 혁명을 추진할 경우 중국이 분열되는 문제에 봉착하며 결국 ‘중화민족’ 이라는 총체성을 강조하는 관념을 창출하게 된다. 그러나 ‘중화’ 안에 내장되어 있는 한족의 민족 상상으로는 완전한 ‘중화민족 국민 만들기’가 불가능한 근본적 한계를...
[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 설립한 창바이산관리위는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 복합유산에 등재시키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으로 발전시켜 백두산을 만주족의 ‘성산(聖山)’으로 선전하고 중국에서 부르는 명칭인 ‘창바이산’만 내세워 자신들의 산으로 세계에 소개하고 있다. 창바이산 풍경구를 거점으로 너인고성, 창바이산 만주족문화박물관, 바오마성 유적지, 류딩산 문화명승지 등을 통해 ‘창바이산 문화론’을 개발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창바이산’ 관광 및 경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창바이산’ 브랜드를 중심으로...
[학술논문] 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 이런 한국 강단사학계의 태두(?)라는 이병도는「낙랑군고(樂浪郡考)」에서 이나바 이와기치의 논리를 표절해서 진 장성이황해도 수안까지 내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현재 일본 제국주의 침략논리인 진 장성 동쪽 끝이 한반도 북부까지 내려왔다는 주장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명(明)에서 역사상 가장 동쪽의 산해관을 쌓은 것은 만주족의 침입을 막기위한 것이었다. 만주족이 설립한 청은 더 이상 장성을 쌓지 않았다. 진(秦) 장성은 물론 중국의 어느 장성도 한반도 안까지 들어온 적이 없다. 진(秦)이 장성을 쌓은 것은 흉노(匈奴)와 고조선을 막기 위한 것이었는데;진과 고조선의국경은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갈석산 부근이었고;그 북쪽에 진·한(秦漢) 장성의 유적이 있다는 사료가 있다. 고대 진·한(秦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