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법상 망명정부의 승인(承認)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일반국제법 상
망명
정부의 승인 관련해 엄격한 실효성 요건 적용의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망명
정부는 비록 자국의 영토나 지역을 실효적으로 지배하지 않았지만 긴급 상황에서 법적 지위를 누렸다는 점에서 실효적 지배의 관행에서 탈피중인 경향도 확인된다. 따라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적 지위는 일본에 의해 강제 병합된 본국의 영토를 회복하고 식민국 통치에서 해방·독립하려는 성격의 ‘특수형태의 과도적(過渡的)
망명정부’이자 ‘대한제국과 동일성을 지닌 대한민국의 재수립’이다. 북한의 법적 지위는 남북한의 UN 동시 가입,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등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정부를 한반도 유일합법정부로 명시한 UN 총회결의, 헌법 제3조에 따라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