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위성강우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비접근 지역인 북한지역의 청천강 상류에 위치한 동신군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을 위한 모형은 IFAS를 이용하였고, 검증이 가능한 국내의 갑천유역에 대하여 모형에 대한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낙동강의 병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한 위성강우를 이용한 분석에서 지상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위성강우자료를 수정하였다. 수정된 위성강우를 이용한 유출분석에서는 첨두유출량이 CMORPH가 4,885.8㎥/s, GSMaP_NRT가 5,717.5㎥/s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더 많은 강우사상을 적용 및 검증을 통해 미계측/비접근 지역에...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청소년 126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통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0.30, p=.003)에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0.41, p<.001)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는 없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유의한 영향(LL 95% CI –0.093
[학술논문]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에 관한 고찰
...의미하며 다양한 분단이 중첩적으로 누적된 적대적이고도 이질적인 인과관계는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분단을 더욱 강화시켜 왔다. 중층성과 복합성이 분단의 핵심요인이라면 그 매개변수로 볼 수 있는 이중성과 다중성은 분단과 남북관계의 연계고리로 기능해 왔다. 뿐만 아니라 남북한은 분단극복과 통일지향을 위한 특수성에 합의를 했지만 보다 명백한 이해와 출구전략에 대한 교통정리가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의 규명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70여년의 잔인한 분단사와 그 속에서 존재해온 분단구조는 핵심요인들과 그 매개변수들의 작동논리들을 통하여 한반도 내부에 다양하고도 복잡한 관계들을 만들어온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분단과 탈분단의 역진과 도전인 동시에 분단극복과 통일전환을 향한 노력의 일환으로...
[학술논문]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연최대 일강우 분석
...분석 대상 강우관측소로 선정하였고, RCP 시나리오의 구간을 2011~2040년(SP1), 2041~2070년(SP2), 2071~2100년(SP3) 세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구간별 연최대 일강우의 평균과 최대치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 간 비교 및 최근 관측자료 (SP0)와 RCP 시나리오를 비교하였다. 또한 SP0 구간의 지점별 Gumbel 분포의 매개변수를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의 구간별 최대치의재현기간을 산정하였다. 모든 시나리오와 구간에서 평균이 증가하는 지점보다 최대치가 증가하는 지점이 많으며, 북한이 남한보다 평균이 증가하는 지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간 최대치의 재현기간이 300년 이상인 지점의 비율은 SP1 14%, SP2 28%, SP3 35%이고,...
[학술논문]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대북 경제제재 심화에 따른 동북아 국제관계 변화
이 글에서는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와 제재 국면의 전개가 가져오는 동북아 국제정세의 변화를 분석 한다. 우선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동북아 국제정치의 특성을 살펴본 이후, 동북아 국가들의 대북 억지 전략 변화, 경제제재 국면 하 동북아 국가들 간의 관계 변화, 그리고 향후 북한의 비핵화 전략에 대해 논의 하기로 한다. 이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핵무기 사용을 억지하고 핵공격에 대해 방어하기 위해 한국 단독의 대북 억지, 한미동 맹의 대북 억지, 한미일의 안보협력, 미국 단독의 본토 방어를 위한 억지, 그리고 지구적 차원의 비확산 노력 등이 모두 변화를 겪게 되었다. 동시에 한국의 점증하는 안보불안, 미국의 핵우산 지속에 대한 우려 등으로 한미동맹도 영향을 받게 되었고, 미국은 그간 지속해온 바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