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집단적 몸짓 기호의 의미작용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의 군중 행사에서 집단적 몸짓 기호가 담지하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군 열병식, 군중시위, 대집단체조와 <아리랑> 공연과 같은 군중 행사는 동일한 신체 행위를 통해서 개성을 말살하고 집단성을 발현시킨다. 이때 발견되는 집단적 몸짓은 단일성, 일체성, 통일성이라는 고정된 의미에 맞추어 고안된 동작 기호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체 동작 기호의 비언어적 속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적 몸짓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북한 사회에서 신체 동작을 규범화하는 고유한 방식에 주목하였다. 코드화된 동작 기호들의 의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북한의 군중 행사가 집단적 몸짓의 신화화 과정을 통해 체제를 선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동작...
[학술논문] 서구권의 북한 관광을 통해 본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
...에이전시 자료, 위치정보태그 기반 사진공유 웹사이트를 본 결과,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에 대해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북한의 위험성은 예상과 달리 오히려 북한을 직접 가보고 싶게끔 만드는 매력으로 역할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관광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실재 관광의 과정에서 위험이 차단되며, 이로써 관광객은 관광의 계기로 삼았던 위험 속에서의 모험을 지속하게 된다. 관광객이 구경하는 대규모 국가 의례는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서까지 작동하여 극장 국가적 성격의 확장이 나타난다. 정치적으로 고립된 세계, 그 세계를 유지하고 보여주기 위한 집단의 몸짓, 베일에 가려진 사람들의 삶을 대변하는 평양의 경관은 서구권의 북한에 대한 환상을 충족시키는 한편, 북한의 체제 유지의 근거를 만들어내는 피상적 이미지이다.
[학술논문] 실향민문화축제에 나타난 한국전쟁과 분단 그리고 실향의 기억
...다시 한 번 한국전쟁이 우리에게무엇을 남겼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속초에는 전쟁이 남긴 상처를 보듬어 삶을 개척한 사람들이 만든 청호동 아바이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전쟁과 실향, 분단과 이산을 품은 공동체이다. 그들은 오로지생존하기 위하여 모래 둔덕을 일구어 살아왔으며, 이제 그들의 문화를 펼쳐 보이면서실향민 전체를 보듬어 안고 통일을 기약하려는 몸짓을 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실향민문화축제의 개최이다. 그 현장에는 실향민의 기억, 북한지역의 민속, 전쟁의아픔을 노래한 가요, 두고 온 고향 산천 사진 등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로구현되고 있다. 본고는 실향민 공동체로서 청호동 아바이마을과 실향민문화축제를연구하였다. 그 과정에 전쟁이 낳은 비극이 가요라는 대중예술로 승화되어 민중을위로하였고, 기억으로...
[학술논문] 씨름의 정체성과 유산 가치
...있을 것이다. 사람이 만나면 씨름도 만난다. 씨름이 만나 어울리다 보면 씨름은 더욱 발전하기 마련이다. 남한에서는 북한 씨름에 남아있는 토박이말이나 옛 경기방식에 관심이 많고, 북한에서는 절기에 즐기는 남한의 씨름 문화나 국제 감각에 필요한 규칙에 관심이 많을 것이다. 씨름의 자원을 풍부하게 만드는 일은 씨름의 바탕을 넓히고 깊게 만드는 일이다. 씨름은 몸짓으로 세계를 잇는 무형의 다리이다. 씨름은 그 명칭과 형태는 달라도 많은 나라에서 즐기는 놀이이자 경기이다. 이점은 각 나라와 민족과의 씨름 교류 가능성을 높여 준다. 저마다 발달시켜온 씨름을 소개하고 각 나라의 씨름 제전을 한자리에 마련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몸 문화를 경험하는 흥미로운 자리가 될 것이다. 한국의 씨름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논문] 서구권의 북한 관광을 통해 본 평양 경관의 시각적 특수성
...매력으로 역할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관광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실재 관광의 과정에서 위험이 차단되며, 이로써 관광객은 관광의 계기로 삼았던 위험 속에서의 모험을 지속하게 된다. 관광객이 구경하는 대규모 국가 의례는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서까지 작동하여 극장 국가적 성격의 확장이 나타난다. 정치적으로 고립된 세계, 그 세계를 유지하고 보여주기 위한 집단의 몸짓, 베일에 가려진 사람들의 삶을 대변하는 평양의 경관은 서구권의 북한에 대한 환상을 충족시키는 한편, 북한의 체제 유지의 근거를 만들어내는 피상적 이미지이다.
In what way is the urban landscape of North Korea used today, and what features do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