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해 상경성 주변 고분 고찰
...통해 목단강에 설치된 칠공교를 건너 왕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경 천도 이전 시기인 발해 건국 이전에서 발해 초기까지 유행했던 토광묘나 화장의 풍습은 이 지역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상경성 인근에서 발견되는 고분은 거의 대부분 석축묘이며 일부 전축묘 혹은 전석혼축묘가 발견되기도 한다. 특히 이 일대에서는 무덤 등급에 상관없이 석축묘가 유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 시기 육정산고분군에서 발견된 개별 고분 가운데 토광묘의 비율이 가장 높고 화장묘도 다수 발견되는 것과 상반된다. 다만 묘제는 같은 시기라 하더라도 지역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 시기 상경성 주변, 소위 중앙지역에서는 현재까지 토광묘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석축묘 위주로 확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술논문]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요동반도와 요동 동부지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는 여순 윤가촌 유적으로 대표되며, 적석목관묘형 묘제와 직인형의 윤가촌식동검, 파수부호와 두형토기 등의 유구․유물 복합체가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윤가촌유형’이란 지역단위 문화유형으로 설정된다. 요동 동부지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적석시설이 부가된 석관묘나 대석개묘가 주된 묘제이고, 검신 하부가 불룩하거나 턱이 진 상보촌류동검, 요령식 동과, 세형동모류 등의 특징적인 청동무기류와 엽맥문 청동기 등이 부장되는 점이 특징이다. 서북한지역에는 요동 동부지역의 문화요소들이 먼저 확인된다. 특히 유사 형식의 청동무기가 일정한 분포정형을 나타내며, 동종동류의 청동유물이 확인되는 것이 주목된다....
[학술논문] 북한지역 석관묘유적의 특징과 성격
...석재무덤의 출토유물 또한 계통성이 확인되어 해안지역을 따라 서북한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추정할 수 있겠다. 이후 제2・3단계(기원전 9~6세기)에는 석관묘와 고인돌의 수량이 점차 증가하고 묘실의 구조적 특징이 보다 유사해지면서, 두묘제의 특징이 결합된 새로운 묘제, 즉 석관형 석곽묘(Ⅰ형)가 출현한다. 또한 이 시기의 고인돌 중에는 정연한 형태의 단일 적석묘역을 가지며 받침돌이 두껍고 대형화 된 것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고인돌 주변으로 소규모의 석관묘가 분포하는 특징은 두 묘제의 관계를 이해 할 수 있는 한 자료가 될 수 있겠다. 제4단계(기원전 5~3세기)에는 고인돌과 석관묘의 수량이 점차 감소하며, 소멸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혼축형 석관묘가 확인된다. 또한 석곽 내부에 석관대신 목관이 조성된 Ⅱ형 석곽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