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대북 무력강압 실패에 대한 연구: 1968년 푸에블로호 나포사건을 중심으로
...의미이다. 이 과정에서 강대국은 국익을 위해 때로는 약소국을 무력으로강압한다. 하지만 종종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무력 강압은 실패로 끝난다. 강대국의 무력 강압은 왜 좌절되는가? 본 연구는 1968년 한반도에서 발발한 푸에블로호(the USS Pueblo) 나포라는 위기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한다. 당시 미국은 한반도에 공군력과 해군력을 단기간 증강하고 무력시위를 감행한다. 하지만 미국은 곧 무력 강압 대안들을 폐기하고 북한과의 직접 협상이라는 외교적 대안을 선택한다. 본 논문은 강압국의 군사적 대안의 효과∙강압 대상국의 군사적 반격에 대한 강압국의 취약성∙강압국의 국내정치적 동학∙중재국의 역할이라는 4가지 차원에서, 미국의 무력 강압이 실패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이론적 함의를 도출한다...
[학술논문] 판문점 도끼살해사건 해결과정을 통해 본 대북 강압외교 연구
...공동경비구역)에서 북한군이 도발한도끼 살해사건을 중심으로 북한을 상대하는데 있어 강압외교(coercivediplomacy) 수단을 활용한 미국의 대북한 협상진행 방식을 분석하고 대북 압박의 유효성과성공요인을 밝힘으로서 북한을 상대로 한 각종 회담 및 협상진행에 있어 또 다른 분석과 적용의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외교적 수단만이 아닌 군사적 수단과 제재조치를 포함하는 대북한 압박형식의협상진행은 새로운 접근방식이라기보다는 북한이 한반도 긴장 조성시마다 지속적으로 채택되어온 방식으로 북한을 상대함에 있어 요구조건의 수용을 강요하기위해서는 무엇보다 명확한 의사전달과 대응조치들의 강력한 실행의지 여부가 성공의 관건이 되어왔다. 주제어:강압외교,현실주의와 문화주의,판문점(공동경비구역),무력시위...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화전양면전술 연구와 대응전략
북한 김정은 정권은 체제생존과 사활적 이익을 위해 대를 이어 화전양면전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종목표는 ‘무력에 의한 한반도의 적화통일’이다.이러한 대남전략기조 하에 남한 내의 여건을 혁명에 유리하도록 만들고 ‘결정적 시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사용해온 전술이 ‘화전양면전술’이다. 화전양면전술이란 상황이 불리할 경우에는 ‘방어적 입장’을 취하면서 대화를제의하고 상황이 유리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공격적 입장’으로 돌변하여 무력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전형적인 기만전략과 강압전략의 혼합형이다.이러한 전술을 구사할 수 있는 명백한 이유는 ‘핵 억지력’보유에 따른 군사적 자신감이다...
[학술논문]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항공전략 정립방향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과 항공인 들이 공동으로 인식하고 지향해야 할 하나의 사고방식(way of thinking)이자 신념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항공전략 정립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과 주변국의 군사전략과 최근 동향들을 평가하고, 한반도 안보 환경의 특수성을 분석하여 이에 부합된 ‘한반도 항공 전략’ 정립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항공 전략은 평시 ‘능동적 억제전략’, 위기시 ‘선별적 강압전략’, 전시 ‘공세적 마비전략’을 기본적인 틀로 제시하였으며, 현대 항공력 운용사례의 교훈과 이론들을 반영하여 한반도 특수성에 부합된 항공전략이 하루 빨리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함에 목적을 두고 기술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군사위협 대비 항공강압전략 연구
...군사적 위협을 분석하고, 현대 항공력의 특성과 역할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새로운 ‘항공강압전략’의 전개방향에 대한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항공강압전략은 유사시 무력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고,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정밀타격을 통해 적의 의도를 강요하는 공세적 개념이 다. 현재 한국 공군은 미군의 연합전력과 함께 막강한 항공력을 보유하고 있다. 북한의 대량살상 무기가 비대칭전력이라면 우리의 항공력은 북한에 비해 가장 우세한 역비대칭전력으로서 군사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결정적 수단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항공 강압전략의 구체적 발전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우세한 항공력을 활용한 대북 군사전략의 패러다임 전환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