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7차 조선로동당 대회로 살펴 본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
...경제정책의 변화를 살펴볼 때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고수로 인해서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개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기간 당대회에서 제시된 경제정책과 당대회가 열리지 않았던 기간의 경제정책의 흐름을 역사적으로 평가해보면 7차 당대회가 왜 개혁적인가를 분명히 알 수 있다. 특히, 이번 당대회에서는 개별 기업에 독자적인 생산권과 무역권, 인력관리권 부여로 기업의 경영권을 강화시키는 우리식 경제관리방법과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의 공식화 및 전면화함으로써 경제개혁적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강조로 회자될 수 있는 7차 당 대회의 경제정책은 과거 선군경제노선과 7.1조치가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면서 계획과 시장의 공존전략을 추구하였듯이, 국방공업 등 전략적 부문에 대한...
[학술논문] 북한의 무역권(와크)에 관한 연구 : 재산권 이론에 의한 접근
본 연구는 북한의 무역권을 재산권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무역제도로부터 무역권을 사용권, 양도권, 발효권, 소득권으로 분할 구성하였다. 이는 북한 무역의 분권화 과정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북한 무역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된다. 북한 무역 메커니즘 관련 기존 연구는 정치역학적 관계나 분권화 차원에서 시도되었으나 분권화 개념이 모호하거나 특수경제 범위만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북한 경제를 이행경제 차원에서 재산권으로 접근한 연구도 있으나 유형자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북한에서는 경제활동 자체가 재산권이 되기에 북한 경제 이해에 있어 무형의 경제활동 권리를 분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2015년 내각 무역을 범위로 북한 무역권의 구성 변화를 개별...
[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에서의 북한 기업소법 정비 동향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경제부문에서의 사회주의헌법의 변화는 1998년 이후 처음 변화된 것으로 북한이 경제 분야에서의 변화를 헌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정은 정권에서 개정된 북한 기업소법에서는 제4조(기업소의 경영원칙)에서 “국가는 기업소들이 경영전략, 기업전략을 정확히 세우고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바로 실시하여 경영활동에서 사회주의원칙을 지키면서도 최대한의 실리를 내도록 한다.”고 명시하였다. 또한 개정된 기업소법에서는 기업소에 가격제정권과 판매권, 제정관리권, 무역권 등을 부여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북한의 경제관리방식의 법제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기업소법의 정비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위논문] The Extractive Institutionalization of North Korean Marketization: Dual Market Dynamics and Regional Disparities
...요소의 성장과 태동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이러한 지방경제의 아래로부터 시장화 활동이 확대될수록, 특권경제 권의 위로부터 시장화에 의해 이들의 시장활동과 잉여가 약탈되는 지대추구적 경향 을 논증하였다. 주요 분석 초점은 특권 핵심부가 어떻게 제도적 위계를 활용해 지방 경제에서 생성된 잉여가치를 추출하는지, 선별적 이익체계, 독과점적 행태와 무역권 (와크)을 통해 지방경제의 시장활동이 어떻게 특권경제에 종속되는지를 독과점과 불평등의 '바닥으로의 경주'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6장에서는 이러한 이중적 시장화의 궤적과 발전 구조를 제도적 관점에서 평가 하며, 특권경제권과 지방경제의 불평등 지속성과 저발전 구조에 초점을 두었다. 1절 에서는 북한 시장화의 특성을 다른 사회주의...
[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대외무역 정책과 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북한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대외무역 정책들을 꾸준히 개발하고자력갱생과 실리주의 원칙에서 무역 기관, 기구, 무역회사들과 무역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북한은 과거의 중앙집권적 무역시스템을 생산과 무역을연결하는 구조로 전환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공장⋅기업소들에 생산권⋅가격결정권⋅계약권⋅판매권과 함께 무역권을 부여하였는데, 대외무역을 통하여 생산성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는 공장⋅기업소에만 부여하였다. 한편으로 생산 단위들의 무역활동에 대한 중앙집권적⋅통일적 지도를 강화하는 정책을 폈다. 이는 공장⋅기업소들에 무역 자율성을 부여하여 그들의 책임과 역할을 높이는 것과 국가의 통제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기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