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번역에 나타난 역사인물의 특징
...김유신에 대한 서사가 그렇다. 이 과정에서 북한 사회는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북한 중심의 역사를 강조하고 있다. 홍양호의 저술의도처럼 북한 사회에서 『해동명장전』은 중세기 전쟁사와 군사전략전술, 명장들의 활동을 보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문(文)과 무(武)의
조화를 지향하며 곽재우의 서사는 무신으로서 뛰어난 지략뿐만 아니라 문신으로서의 능력을 가지고 왕의 실정(失政)에 대해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려 ‘의(義)’를 숭상하는 소신 있는 행동을 보여주었다. 북한에서 두 차례 출판된 『해동명장전』은 홍양호의
문무(
文武) 지향의식을 담아내면서 당대 북한의 역사인식과 사상을 반영하여 역사인물을 선정하고 서술하는 변화를 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