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녹족부인 서사의 원형과 변형 - 친자 탐색 공간을 중심으로
...향토 전설로서 보유해 온 지리적 공간을 외세 침략에 대항하는 애국투쟁의 이념적 공간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점에 변이적 특징을 지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녹족부인 서사의 변이를 추동한 원인이 무엇인가를 찾고자 할 때는 북한 정권 초기에 당의 정치 강령과 연계된 문예 인식 및 정책이 주목된다. 북한 정권 초기에 이루어진 김일성의 문예 지도사업으로 볼 때 민족문학 텍스트는 이른바 ‘평화적민주건설시기’로 불리는 1940년대 후반기부터 이미 당의 강령을 추종한 각색 및 변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북한 분단이 지속되면서 남북한간에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측면에서 이질화가 심화되어 왔다. 민중이 즐겨 듣고 말하는 ‘이야기’도...
[학술논문] 문예잡지 『三千里』와 재일코리안의 문화 정체성―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왜곡된 역사인식, 한국의 민주화운동, 남북한 화해, 재일코리안의 민족적 아이덴티티, 재일코리안 문학, 한국문학의 번역, 대중가요, 교과서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문예적으로는 창작시 47편, 창작소설 37편, 평론 860편, 한국문학의 일본어 번역(시 65편, 소설 2편, 민화 7편) 등은 소개했고, 이러한 작가/문학텍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글로컬리즘이라는 관점에서 재일코리안 문학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는 소중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三千里』는 12년간(1975년-87년) 통권 50호라는 방대한 분량의 문예잡지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도 충분히 가치가 인정되지만, 좀더 범박하게 식민/피식민, 중심/주변, 포스트 콜로니얼, 세계주의라는 관점에서...
[학술논문] 미디어와 북한문학 - 『조선문학』·『문학신문』 연구 시론
이 논문은 북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의제 설정을 위해 매체론적 접근법을 제안하는 시론 (試論)이다.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했던 전통적인 역사주의적 접근법에서 한 단계 더 올라서서, 텍스트의 미디어적 존재상황을 탐구하여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자는 것이다. 북한문학을 대표하는 잡지 『조선문학』(『문화전선』․『문학예술』)과 신문 『문학신문』을 ‘미디어 독법’으로 접근하여 매체론적 관점에서 문학 텍스트를 재해석하겠다는 것이다. 먼저 두 문예지 최근호를 미디어 독법으로 꼼꼼하게 읽어봄으로써 공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통시적 분석도 개괄적으로 시도하였다. 『조선문학』․『문학신문』의 실증적 서지작업부터 시작하여 전체 분량과 목차 및 편집 체제의 역사적 변모양상을 전반적으로...
[학술논문] 해방기 남북한의 아동담론과 아동문학 텍스트의 상관성 연구
This article is for educational discourse and reality Liberation Period Children gave any impact on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has sought to internalize salpigo whether this in any way. This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is sought to be examined has studied how children approach seotneunga on the actual life and reality On the other hand, Liberation Period peculiarities
[학술논문] 사회주의 교양으로서의 독서와 문예지 독자의 위상 - 북한 『조선문학』 독자란의 역사적 변천과 문화정치적 함의 -
이 논문은 북한문학 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열기 위해 독자사회학적 접근법을 제안하는 시론(試論)이다. 전통적인 역사주의적 접근법에 더해서, 문학 텍스트를 수용하는 독자들이 문예지 투고란등을 통해 어떠한 역동적인 반응을 보였는지 그 미디어적 존재상황을 탐구하여 새로운 의제 설정을 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북한문학을 대표하는 문예 기관지 『조선문학』(1946~2015, 『문화전선』․『문학예술』 前史 포함 통권 820호) 독자란의 독자사회학적 분석과 독서사회사적 접근을 통해 북한문학에 대한 공시적 의미의 독서사회학과 통시적 의미의 독서의 사회사를 개괄적으로 조망한다. 가령 195,60년대 활성화되었던 문예매체의 독자란과 토론문화가 197,80년대의 위축기를 거쳐 2000년대 들어서서 축소․폐지되다시피한 전후 정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