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접변 성향 연구 - 광주광역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This Study is to analyze acculturation patterns of North Korean Migrants(NKM) in South Korea. The scale was applied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EAAM) developed by Barry.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of NKM tend to be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rather than separation or marginalization styles. Average monthly wage and learning experience for South Korean society were associated with separation
[학술논문] 판소리의 연변 이식과 전승과정 연구
판소리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자 문화콘텐츠의 핵심 창작소재이다. 판소리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구비전승 되다가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근대에 이르러 중국 동북3성에까지 진출하게 된다. 판소리의 중국 진출과 이식 경로는 봉건적 사회구조의 폭정을 피하거나 일제의 통치에 저항하면서 이주한 조선인들의 중국 이주 경로와 맥을 같이한다. 판소리의 중국 이식과 전승은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판소리 향유와 이식의 배경이 되는 단계로서,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조선인 이주부터 1949년 중국 건국 이전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조선인 초기 이주자와 동일시되는 향유자와, 이들에 의해 중국에 초청된 조선 명창 연행자가 서로 영향을 주는 과정을 거치면서 판소리가 중국 현지에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변천에 관한 연구
...달리하는 문화접변의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이 문화접변은 강제적 문화접변이나 자발적 문화접변은 아니지만 환경적 상황으로 인한 현상으로 이해되었다. 탈북민과의 심층면담은 북한당국과 주민들 사이에서 극도로 페쇄적인 북한에서도 외부세계를 동경하는 젊은 세대가 사회 전면에 등장하면서 이들에 대한 당국의 사상통제도 더욱 강화됨에도 불구하고 미신과 점을 보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북한당국이 젊은 기성세대보다 당에 대한 충성심이 약하고 외부 문물을 동경하는 MZ세대(Millennial Generation)에 대한 통제가 김정은 시대에 더욱 심화되지만 현 북한체제에 불만을 품는 그루터기 신앙인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이전 북한의 종교정책과 큰 변화가 없지만 암묵적 문화접변의 환경이...
[학위논문] 북한 조선소년단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기제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북한 사회 및 교육 환경 에는 의미 있는 변화들이 발견되고 있다. 무엇보다 그 동안 사회주의의 상징이라고 인식되어 오던 배급제가 붕괴되면서 당의 권위와 통제력은 약화되고, 생계유지를 위한 장사가 활성화되면서 여 행 및 이동의 통제가 이완되었다. 그 결과 북한 주민들의 문화접변 기회가 증가하고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자아의식이 증가한 반면에,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사회적 일탈이 증가하였으며 무상의무교육제도가 실질적으로 폐지되기에 이른 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개인주의가 심화되고 남한 및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 이 변화하는 한편 체제에 대한 자긍심이나 당과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은 약화 되는 방향으로 북한 주민들의 사회의식이 바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