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관계개선에서 미국역할변화
1971년 남북한이 관계개선을 갖은 이래로 1998년까지 미국의 남북한관계에 있어서 그 역할을 분석하였다. 미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안정자(stabilizer)와 균형자(balancer)의 위치에서 남북한 관계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냉전시대에 미국은 국제시스템 차원에서 남북한관계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탈냉전 이후로 1998년까지 미국은 유일 강대국으로서 남북한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북한의 NPT탈퇴 이후로 일시적으로 미국은 ‘한반도의 후견자’로서 두 개의 한국정책을 추구한 시기도 있었다.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에 있어서의 한미동맹의 역할
...점진적인 모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폭력과 사회적 격동의 시나리오는 한・미동맹이 보다 큰 역할을 요구할 것이지만, 반면에 부드러운 “연착륙” 시나리오는 보다 작고 덜 직접적인 역할을 필요로 할 것이다. 보다 점진적이며 한국에 의해 주도되는 계획적 통일이 아니라, 비록 평화적이더라도 통일이 돌발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미국의 역할은 더 커질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미 양국의 가장 중요하고도 장기적인 역할은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역내국가들과 국제제도에 대하여 수행되어야 할 외교적 영역에 있다. 어떠한 통일과정에서건 간에 동맹체제가 비교적 원만하게 작동하려면, 동맹 내부에서의 경쟁과 갈등을 가급적 최대한 회피하면서 상이한 목표들에 대한 타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양국은...
[학위논문] 탈냉전기 남북관계와 미국의 역할 : 남북 기본합의서와 북미 제네바합의서를 중심으로
요컨대, 본 사례는 남북관계가 진전되기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들간의 화해 무드 조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남북관계라는 기본틀 속에서 남북한의 협상파들이 주도하는 가운데 국내외 정치세력들이 이를 적극 지지·지원해 줄 때 모종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커다란 교훈을 던져 주고 있다. 특히 패권적 외세인 미국이 남북관계의 당사자원칙을 존중해 줄 때 남북관계가 상당한 진전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
[학술논문] 북한의 시장화와 주민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 ‘국민정체성’과 관련하여
...둘째, 미국과 남한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부정적 태도가 어느 정도 약화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장화와 더불어 북한 주민들이 사회주의와 당을 자신들과 동일시하는 정도는 매우 약화된 반면에 주체사상과 수령을 자신들과 동일시하는 정도는 그다지 약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남한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부정적 태도 역시 매우 약화되었으나, 미국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전혀 약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통치이념인 주체사상과 그에 입각한 수령론의 허구성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동북아시아의 복잡한 국제적 역학관계 속에서 안정자(satablizer)로서 기능하는 미국의 역할을 제대로 알릴 필요가 있다. 그것은 북한의 시장화를 촉진하는 대북정책을 일관되게 펼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학술논문] 신우파 부상과 미국 대전략의 패러다임 변동: 탈단극 시대 한국 외교의 새로운 도전
...부흥이 중요하다. 셋째, 우리는 이미 다극 세계에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적 조건에서 미국은 자원의 희소성을 인식하고, 취사선택 대상을 결정해야만 한다. 이상의 패러다임 변화는 미국이 주도해 온 기존 자유국제질서의 해체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외교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미중 갈등에 “연루”될 위험과 미국의 역할 축소로 인한 “방기”의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동맹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기존의 비핵화 목표에서 벗어나 군비통제 접근법과 같은 해법이 대두되며 한반도 정세의 본질적 변화가 예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전환”기의 국제 환경 속에서 한국이 전략적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실주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