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과 '분단'을 잇다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국제연대운동과 한반도
본고에서는 오키나와 반환 당시까지의 한반도와 오키나와 사이의 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특히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을 통해서 전개되었던 오키나와와 북한 간의 국제연대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남북한은 안보전략상 미군정기 오키나와에 대한 인식을 달리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 APACL 등을 통해 오키나와에 친미반일반공 독립국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일협정으로 일본 중심의 아시아 안보체계에 편입된 후에는 오키나와 반환 교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미군기지의 안정적 운용 확보에 기여한다. 한편 북한은 AAPSC 등 세계적으로 고양되었던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오키나와 주민들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한반도와 오키나와 문제는 외국군의 간섭에 의한 분단에 기인하며...
[학술논문] 오키나와의 아리랑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논리’에 입각한 오키나와 전투 역사화 과정에서 조선인들을 발견했다. 총련은 이 성과들을 이어 받으면서도 조선인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그리려 했다. 그 결과 조사단은 오키나와 전투 준비를 위해 동원되었던 조선인들 중에패전 이후 미군의 전쟁준비에 동원된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인들에대한 일제와 미군의 전쟁범죄를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에는 식민지주의가 지속되고있었음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한국정부와 총련의 잔류 조선인에 대한 인식 차는 남북한의 미군정기 오키나와인식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오키나와에 친미반공 독립국의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민족 재결합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오키나와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