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과 '분단'을 잇다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국제연대운동과 한반도
...오키나와 사이의 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특히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을 통해서 전개되었던 오키나와와 북한 간의 국제연대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남북한은 안보전략상 미군정기 오키나와에 대한 인식을 달리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 APACL 등을 통해 오키나와에 친미반일반공 독립국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일협정으로 일본 중심의 아시아 안보체계에 편입된 후에는 오키나와 반환 교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미군기지의 안정적 운용 확보에 기여한다. 한편 북한은 AAPSC 등 세계적으로 고양되었던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오키나와 주민들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한반도와 오키나와 문제는 외국군의 간섭에 의한 분단에 기인하며 민족 통일이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목표로...
[학술논문] 남북통일정책의 특성 비교: 해방이후 이승만, 김일성의 '자주와 국가'를 중심으로
...남북한은 분단된 지 70년이 되었다. 그동안 남북한 통일정책은 냉전과 탈냉전의 국제정세와 남북한 ‘힘(국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남북한은 민족주의적 사고에 기반하여 체제 대결과 체제 경쟁을 했다. 특히, 국가건설형성자였던 이승만과 김일성은 ‘북진통일론’과 ‘민주기지론’에 의해 민족해방 또는 인민해방을 시킨다면서 상호 적대․대결․배제하면서 무력통일을 시도하였다. 남북통일은 ‘힘(국력)’에 기반한다. 남북이 통일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인 발전과 상대적인 우월성을 갖추어야 한다. 통일을 위한 국가 지도자의 강력한 의지는 절대적인 추진체다. 해방이후 이승만과 김일성은 모두 민족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해서는...
[학술논문] 남북분단 70년과 북한선교의 방향성 모색
2015년은 해방과 분단 70년을, 2018년에는 남북한 정부수립 70년, 2020년에는 6·25전쟁 70년을, 2023년에는 휴전 70년을 맞게 된다. 향후 10년 내에는 미래 남북관계의 실제적 변화가 어떠한 형태로든 전개되리라 예상된다. ‘기쁘면서도 슬픈 날’로 기억될 수 있는 8·15 해방과 동시에 북한지역과 북한교회에 대한 지배의 주체가 일본식민지에서 이데올로기로 교체되었고, ‘동방의 예루살렘’이라는 평판마저 있었던 북한지역 지역은, 상당 기간, 찬송과 기도의 소리는 더 이상 공식적으로 들려오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종교와는 무관한 사회로 비춰지며 운영되던 북한사회도, 공인 기독교회가 1988년에 건립된 봉수교회를 시점으로 다시 등장하기...
[학위논문] 1948年 平壤 「南北朝鮮 諸 政黨·社會團體代表者 連席會義」와 北韓의 統一戰線戰術에 관한 硏究
...제주폭동 등을 사주하였고, 끝내 6.25 기습남침을 자행하였다. 북한은 1964년, 남한에서 혁명역량이 강화되고 북한 혁명 기지를 더욱 강화시키며 국제공산주의진영의 혁명역량과 단결할 것에 관한 3대 혁명역량 강화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북한에서는 1974년, 민족민중세력을 부추겨 보안법과 반공법을 비난하게 하고, 긴급조치 비방 및 민중 봉기를 선동하는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혁명론을 주장하였고, 1985년에는 남한 내 반공세력을 제외한 모든 진보적 애국역량을 범 민족적 통일전선에 묶어 세워 적화운동에로 분기시키고자 하여 한국민족민주전선을 조작하여 한국민족자주선언을 발표하였다. 평양 연석회의 통일전선노선에 따라 북한은 한국전쟁 휴전 후 개최되었던 제네바 정치회담에서 미군 철수 및 남북의 군비 감축을 제안하는 조선평화조건...
[학술논문]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만들어 가는 실험장이 될 것이다. 남북의 역사교과서는 3.1운동이 전 민족적인 반일 항쟁이었음을 공통적으로 언급하지만, 운동의 배경과 주도세력뿐 아니라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측은 운동의 배경으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주도세력으로서 민족대표 33인, 성과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강조했다. 반면, 북측은 러시아혁명과 민족해방운동, 노동자․농민층의 진출, 부르주아민족주의 세력의 몰락과 당과 수령의 지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강조했다. 그것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남북의 체제적 분단이 낳은 결과이자, 남북 정권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