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 민주선전실의 교육과 동원 활동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기 북한이 체제 붕괴를 방지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농촌 지역 민주선전실의 활동을 통해 선전선동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은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대중들의 정치사상 교육과 전쟁 지원을 위한 동원을 통해 김일성의 정치적 권위 회복과 체제 정당성을 형성 및 강화, 정치·경제적 기반을 재확립함으로써 체제의‘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국군과 유엔군의 우세한 화력은 북한체제의 중요한 정치, 경제, 군사적 기반을 파괴하였지만 북한 인민들을 파괴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전쟁은 북한에게 선전선동의 전쟁이었으며, 민주선전실은 ‘군인들의 전쟁’을 ‘인민들의 전쟁’으로 전환시키는데 결정적인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민주선전실에 관한 연구 - 운영구조와 지도체계를 중심으로 -
...중국인민해방군의 도움으로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한 선전선동망을 개편, 확립을 정책의 우선목표로 설정하였다. 전쟁 전 비당원, 지역인사를 중심으로 주로 선거 및 오락 활동에 치중하던 민주선전실에 유급민주선전실장제를 도입, 열성 당원을 파견해 중앙당에서 직접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환시켰다. 민주선전실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업을 위해 실장, 부실장 및 선동원을 모두 당원으로 제한하고 그들의 선발과 교육을 직접 지역 도당 및 인민위원회에서 담당하였다. 북한은 당과 인민위원회의 민주선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감독, 민주선전실장과 부실장, 분실장 및 선동원들의 역량 제고를 통해 민주선전실 사업의 성과를 높이며 전쟁기 농촌지역 주민들을 김일성과 북한체제를 위한 일심단결된 투사로 만들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