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에 대한 연구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민족적 동질성마저 미약해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를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을 직접 관찰하였고, 교직원 7명과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은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를 보였다. 교사를 권위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고, 개인 중심의 생활에 부담을 느끼며 불안해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문화적으로도 민족적 동질성이 미약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이었고, 대상은 통일부 지정 북한이탈가정 위탁교육 기관인 경기도 A시 소재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이었다. 방법은 관찰과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연구 대상 아동들을 직접 관찰하였고 경영자 1명, 교사 2명, 코디네이터 2명, 그리고 하나원과 H학교 코디네이터 각 1명 등 총 7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