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신문에 나타난 「혐한」언설의 의미 고찰 - 1992년부터 2015년까지의 아사히신문(朝日新聞)과 산케이신문(産経新聞)을 중심으로 -
...아사히 모두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한 대부분의 기사가 「혐한」언설로는 표현・게재되지 않았다. <제3기 : 2012-2015>「혐한」언설은 혐한서적을 비롯한 보수계 잡지, 주간지, 일간지 등을 통해서 불특정다수인 일반 국민들에게 전달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기에 발족한 한일 양국의 현 정권은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역사인식의 차이로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미디어는 서로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언설을 전개했다. 이와 같이 국교정상화 이래, 최악의 한일관계를 배경으로 「혐한」언설 역시 한국 국민 모두가 「반일」인 것처럼 보도하면서, 「반일」외교, 「반일」행위라고 라벨링하며, 「혐한」의 모든 원인은 「반일」보도를 하는 한국 미디어와 「반일」국가인 한국정부에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학술논문] 베트남전쟁 시기 북한의 대외정책
...띠게 되자 사회주의 진영의 ‘반제공동투쟁’을 선도적으로 주장하고 전투병 파병에도 솔선수범했다. 하지만 북한의 기대나 바람과는 달리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은 갈수록 심화됐다. 반대로 일본 군국주의는 완전히 부활하자 1970년대 들어서 북한은 사회주의 진영의 반제공동투쟁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낮추고, 아시아 혁명적 인민들의 반제공동투쟁, 반미반일투쟁을 강하게 촉구했다. 한편 북한은 베트남전쟁 초기 남한에서 반전의식을 매개로 남조선혁명의 기운이 무르익기를 기대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대했던 남한의 반전운동은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의 모험주의적 군사행동 탓에 남조선혁명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자 박정희 정부와의 대화노선으로 전환했다. 더불어 미군이 1973년 3월 베트남에서 완전 철수하자 7·4남북공동성명의...
[학술논문] 북한『노동신문』에 나타난 독도기사(2009~2017) 현황분석
...‘고등학교 교과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영유권 주장을 고수한 점이다. 그리고 독도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1) 한국 정부 인사들의 소극적인 일본 대처 방안을 비난하는 것과 한국의 언론, 민간단체, 민간인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규탄을 제시. 2) 일본의 독도영유권 등에 대하여 독도강탈, 침략이라고 하며 한국국민들에게 반일감정 선동역할. 3) 반미적대정책을 선동. 4) 남북 공동독도수호운동의 공동성명발표. 5) 일본이 북한에 의한 통일을 방해하는 것을 비난하며, 독도와 관련하여 통일전략전술을 내세우고 있다. 6) DB구축시스템과 종래 아카이브의 자료검색의 편차. 이것은 아직까지 북한과의 자료공유가 원활하지 않은 점에서 비롯된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독도인식이 매우 對日비판적이라는데...
[학술논문] 기만과 자멸(自蔑),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재현-기억-손소희의 『남풍』(1963)을 중심으로
... 냉전 체제 하 미국주도로 고안된 반공블럭 내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하는) 아시아 방위를 담당하는 국가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제 원조를 강력히 필요로 했던 경제적 후진성, 동시에 북한과의 치열한 체제경쟁을 치러야 했던 1950년대의 제반 상황은 남한으로 하여금 대일관계를 타협적으로 이끌어가도록 만들었다. 1950년대 이승만 정권이 견지했던 반일 정책이 1960년 4.19혁명으로 일거에 퇴조하자, 한-일관계는 급격한 유화국면을 맞게 되었고, 식민지의 기억은 일본에서나 남한에서나 소거되어야 했다. 『남풍』이 발표된 1963년은 한일국교정상화와 그로 인한 반대 투쟁이 개시되기 이전의 시기였지만, 냉전 체제 하 남한-일본의 기만적인 관계는 1950년대 이후부터 예비된 것이었다. 『남풍』은 식민지민 디아스포라가...
[학술논문] 1956년 헝가리 사태에 대한 남한의 인식과 대응
...요청했다. 나아가 헝가리 사태는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남한에서는 헝가리 사태가 1956년 11월 한 달 내내 헝가리 인민들이 반소와 반공을 부르짖으며 봉기했듯이 북한 인민들도 들고 일어나길 바라는 북한동포궐기촉성 대회가 전국적으로 펼쳐졌다. 흥미롭게도 남한 정부와 신문이 북한동포가 들고 일어날 수 있는 이유를 일제 식민지 시기 함께 반일을 했던 한민족의 민족성에서 찾았다. 헝가리 사태를 진압하기 위한 1956년 11월 4일 소련의 헝가리 무력침공은 한반도 전쟁 위기를 야기했다. 자유세계가 소련의 침공을 방관하는 사이 북한이 다시금 6.25전쟁을 재발할지 모른다는 공포가 퍼졌고 이런 위기는 여당이 사회통제를 위해 국정보호임시조치법을 제정하려는 시도와 맞물렸다. 동일한 헝가리 사태에 대해 이승만정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