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주변의 해양오염 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규제
한반도 주변 해역은 해양오염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다. 이곳은 남북한을 포함한 중일러 5개국이 연안국을 구성하고 있으며, 유엔해양법협약상 폐쇄해 내지 반폐쇄해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현재 이곳에는 각 연안국 간의 환경보호협력조약과 북서태평양실천계획(NOWPAP)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협력조약이나 실천계획은 지중해나 발트해의 경우와 같이 강력한 집행력이 담보된 국제법규범이 아니므로 효율적인 해양오염의 규제가 이루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하여 동 해약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해양환경보호체제의 확립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양오염의 국제적 규제와 유엔해양법협약상 해양오염 규제를 살펴보고, 실천적인 해결방안으로서 지역해프로그램에 의한 규제와...
[학술논문] 냉전시대 그린데탕트의 경험과 남북한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
이 글은 발트해 환경협력의 사례를 통해 그린데탕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남북한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유럽사례에서 살펴본 그린데탕트의 성공요인은 환경협력의 인식, 협상, 실행 단계별로 찾을 수 있었고, 인식단계에서는 환경의식의 성장, 협상단계에서는 이슈연계와 중재자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그리고 실행단계에서는 협력의 제도화가 필요하였다. 발트해 환경협력은 동서진영의 모든 국가에서 환경의식이 성장하고 각종 환경관련 법과 기구가 마련되는 1970년대를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환경이슈가 안보이슈와 연계되어, 헬싱키 평화 프로세스라는 큰 틀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적대적인 당사자 간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에는 중재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적대적인...
[학술논문] 유럽의 접경지역 협력 성공사례 분석과 남북협력에 대한 시사점
이 글은 DMZ를 평화지대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접경협력의 성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북한의 성공적인 접경협력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유럽의 성공적인 접경협력 사례를 검토하였다. 콘스탄츠 호수협력, 라인강 상류협력, 발트해 협력 등의 성공사례를 살펴본 결과, 성공적인 접경협력을 위해서는 강, 호수, 바다라는 다양한 지리적 조건에 적합한 거버넌스 유형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접경협력에 관한 개념과 이론적 논의를 한다. 접경협력을 위해서는 중앙정부 이외의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형 거버넌스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접경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