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고고학문화는 특정 고고자료의 조합이 특정의 분포범위를 이루는데 근거한 개념이다. 한국고고학에서도 고고학문화의개념은 이전부터 인지되어 왔지만, 어떤 개념 정립 없이 습관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았으며 무문토기문화라는 용어 역시 마찬가지였다. 동북아시아 속에서 한반도라는 범위의 지역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문토기문화의 공간적 범위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반도 청동기시대 표지적 자료들의 분포 범위부터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렬문토기 중에서도 심발이 주체를 이루는 곳은 압록강 상류역도 포함되지만 주로 청천강유역과 함경북도 남부지역을 북한계로 한다. 동북아시아의 마제석검은 청천강유역 이남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단병식석검은 청천강 이남지역에서만 출토된다.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분포에서도
[학술논문]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미송리형토기라는 용어는 북한학계의 조사와 연구에 의해 학술적으로 정착되어 왔다. 미송리형토기는 호라는 기종 내에서도 특정의 종류를 지칭하므로 이른바 형식의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송리형토기의 기원 및 가장 이른 형식에 대해서는 타두 적석묘, 쌍방 6호묘, 장가보 A동 34호묘, 산성자 C동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