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학에 나타난 백두산 재현 양상에 대한 시론 3대 세습체제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북한 문학에 나타난
백두산의 재현 양상을 시기별로 짚어보는 시론이다. 이를 통해 북한 문학 속
백두산 담론을 항일담론과 주체사상, 혈통의 정당성, 그리고 2000년대 이후의 통일담론과 관련지어 고찰할 것이다. 북한에서
백두산은 ‘혁명의 성산’이자 ‘마음의 고향’으로 간주되며, 이에 더해 북한의통치방식-세습체제가
백두산의 형상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50년대 중반 이후
백두산과 관련한 수많은 전설 속에서 조선의 독립은 김일성의 탄생과 결부되었는데,
백두산 전설이 설파하는 항일무장투쟁은 궁극적으로 김일성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또한 1980년대 이후에는
백두산 신화에 김일성의 아내인 김정숙이 들어오게 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