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의 러시아 문학 번역에 관한 소고 - 남ㆍ북한의 평가를 중심으로
재북 시기의 백석은 방대한 번역 작품을 남겼다. 그 번역 작품 중 대부분이 러시아 문학과 소련 문학(Soviet Literature)의 작품들이다. 이러한 백석이 남긴 많은 번역 작품에 대한 연구는 재북 시기의 백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백석의 번역 작품 특히 번역시의 연구를 위한 전망을 세워보고자 한다. 이에현재까지 백석의 번역에 대한 남한 학계의 평가를 점검하고 백석이 번역에 주력하던1950년대의 북한에서의 백석 번역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매우 제한된 자료이지만 1950년대 번역에 대한 북한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백석의번역 활동은 러시아 문학 전문 번역가가 부족하였던 당시 북한의 사정으로 인한 어쩔 수없는 선택이었음을 추론하였다...
[학술논문] 백석의 번역 작품 「자랑」, 「숨박꼭질」 연구 - 북한 문학 속의 백석 Ⅳ -
... 한 짧은 단편이다. 두 작품만으로 백석 문학의 표상으로 삼을 만한 성과를 도출할 수는 없지만 몇몇 사항에서 당시 북한문단의 요구와 백석의 문학적 선택 행위로서의 번역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두 작품 모두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전쟁 중 후방에서 겪은 일을 다루고 있었다. 당시에 번역된 많은 러시아 작품들이 2차세계대전, 대조국전쟁(독소전쟁)을 배경으로 하였는데 백석이 택한 작품들과 그와 맥락을 같이 한다. 1945년 이후 1950년대 중반까지 북한문단이 몰두한 것과 번역을 통해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가 백석의 번역에도 반영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것은 매우 단순하고 당연해 보이지만, 백석이 번역을 통해 창작의 기쁨을 간접적으로 느끼고 대체 창작을 하며 또 다른 시인의 삶을 살았을 것으로...
[학술논문]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백석이 번역한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은 여러 연구자들에게 언급되었으나 그 실물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백석의 번역 텍스트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마르샤크의 『동화시집』도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백석의 『집게네 네 형제』와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석은 아동문학 논쟁에서 자신의 동시를 옹호하기 위해 마르샤크를 언급했으며, 마르샤크 탄생 7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생애와 그의 문학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이 백석의 동화시집이 나오기 2년 전에 출간되었던 점에서 백석의 동화시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마르샤크의 『동화시집』과 백석의 동화시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
[학술논문] 삼수 시기 백석의 새 평론과 언어 지향
...글은 활발한 번역가며 빼어난 어린이문학가, 비평가로 활동했던 재북 시기백석이 삼수 현지 파견 기간 발표했던 미발굴 평론 두 편을 새로 찾아 그 됨됨이를밝힌 글이다. 그를 빌려 백석 문학 전개에서 마지막 시기에 지녔던 문학적 관심의향방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 소설과 우리말」 (1959)은 백석의 유일한 번역 관련 평론이며 번역론, 나아가 시어관까지 엿볼 수있는 실제 비평이다. 삼단 짜임새를 지닌 이 글은 소설 번역 언어에서 나타나는 잘못을 크게 세 가지, 곧 자각 없는 왜색 외래어, 옮긴이가 우리말에 대한 지식이 모자라거나, 마땅치 않게 씀으로서 드러나는 것으로 나누어 예증하고 있다. 둘째, 아도브줸꼬가 쓴 평론 「예술 영화의 씨나리오와 언어」(1961)는 백석 문학에서 유일한...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만주행 作家들의 내면과 心象地理 - 백석과 이효석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중심으로
...지녀온 관북인들은 북방의식 혹은 북방적 상상력으로 명명되는 문학사적 흐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해왔으며, ‘북국’에 대한 그들의 정서적 편향은 조선작가들의 만주(기)행을 추동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고는 백석과 이효석을 중심으로 조선에서 형성되었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이 일제강점기 조선작가들의 만주(기)행을 추동하는 하나의 원인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러시아문학의 세례를 통해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가졌을 것으로 짐작되는 백석은 러시아어를 배우고 러시아문학작품 번역을 준비하기 위한 공간으로 만주행을 선택한다. 이후 그의 행보는 재북(在北)으로 이어지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상황은 그의 북한 잔류가 러시아에 대한 낭만적 동경의 투사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효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