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의 언어격차와 통일 후 번역 양상에 관한 연구
This paper examines language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dicts the translation aspects after unification of Korea based on the socio-cultural role of translation. The language gap has been considerably big in terms of their own language philosophy and policy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n 1953. It has made such a remarkable progress among various enormous efforts bridging
[학술논문] 1956년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춘향전」의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본고는 1956년에 북경 작가출판사에서 출판한 중국어판 「춘향전」의 번역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에는 「춘향전」의 소설 번역본과 희극(戱劇) 개작본이 각각 6종류씩 있는데, 그 중에 1956년 역본은 중국대륙에서 나온 최초의 소설 번역본으로 이 글의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1956년 역본의 저본은 북한의 「춘향전」이고, 북한의 「춘향전」은 직ㆍ간접적으로 성적인 표현을 다룬 부분이 모두 삭제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내용과 같다. 1956년 역본은 북한과 중국 양국의 원어민 번역자가 합작한 역본이다. 그러나 두 번역자가 모두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북한 번역자인 빙울(氷蔚)은 훌륭한 번역자이지만 고전작품을 해독하는 일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학술논문]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This paper's aim is to study a Chinese translation of <Chun-hyang Jeon 춘향전> as published in North korea, 1991. The translator is not marked, and the original text used was Cho Ryeong-chul(조령출)'s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1980. Cho Ryeong-chul's <Chun-hyang Jeon> was a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학위논문] 한국전쟁기에 중국어로 번역된 북한문학 연구
...한다. 특히 인물 형상화를 중심으로 보고문학과 단편소설의 특징을 논하고자 한다.본고에서는 북한 전시 소설에 나타난 인물을 군인과 영웅인민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장에서 시대배경과 중국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을 고찰하고 3장에서 외국인의 형상화를 통해 드러난 반제국주의를 살펴보고 4장에서 인민영웅의 형상화를 통해 강조된 국가주의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쟁 시기라는 시대적이고 사회적 환경에서 추출해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분이 바로 군인과 인민영웅이기 때문이다장에서 한국전쟁의 시대적 특성 중국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과 한국전쟁기 중국어로 번역된 북한문학 양상을 고찰하고 3장에서는 각각 미군 한국군 일본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인물 형상화를 나누어 문학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4장에서는 전방에서 싸우는...
[학위논문] 북한 문학번역과 수용의 프레이밍 연구: Gone With the Wind를 중심으로
...통치 담론과 맞물린다. 반미·반제 이데올로기는 체제의 내부를 단속하는 장치로 활용되며, 기독교는 김일성을 신격화하는 사회정치적생명체론과 부딪힌다. 젠더는 사회주의대가체제의 영향을 받으며, 텍스트 기능 전환은 체제의 통치 수단인 문학이 수용자의 반응을 극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번역학 관점에서 북한의 문학번역의 양상을 조망하고 텍스트차원에서의 굴절현상을 분석한 첫 사례 연구라는 데 있다. 또남한에서는『바람과 함께 사라진다』가 195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재번역·재출판되고 있음에도 문학적 위상의 변화로 국내 학술 연구가 미미했는데, 번역문학사로도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도 유의미한 연구가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