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해 NLL의 법적 정당성 및 수호방안 연구
...군사력을 분리하는데 기여해 온 실질적인 경계선으로 역할을 해왔다. NLL 설정 이후, 북한은 1973년부터 경비정을 의도적으로 침범시켜 ‘현상 타파’를 시도해왔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북한은 군사적 협상과 군사적 도발을 병행하여 서해 NLL의 무실화를 수시로 시도해 왔다. 그러나 서해 NLL은 북한의 수차례 도발에도 불구하고 우리 해군이 온갖 희생을 감수하며 지켜온 실질적인 해상경계선이다. 또한 서해 NLL은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 유엔해양법협약, 국제법에 따라 법적 유효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관할권 하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서해 NLL과 관련하여 우리군이 북한군과 군사협상을 대비하도록 대응논리를 제공하고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대비하도록 수호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북방한계선(NLL)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검토와 대응방안
...인근 해역에서 무력도발을 감행할 경우 군사적 차원에서는 도서방어의 약점을 활용할 수 있고, 북한에 유리한 명분과 논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이 예상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NLL을 둘러싼 남북 간의 갈등 상황을 살펴본 후, 이에 대한 이해관계당국의 입장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휴전협정의 해석을 통하여 NLL의 국제법적 정당성을 검토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NLL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조약 자체에 경계 획정에 관한 통상적 의미의 구체적인 규정이 없는 경우라고 해도 조약 전문에 나타난 대상과 목적, 문맥, 조약 체결시의 사정과 조약 체결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 후속 합의 또는 후속 관행을 고려하여 조약 체결 당시 양측은 경계 전반의 문제를 일거에...
[학술논문] 高麗法學 106年의 回顧와 展望: 當代를 診斷하고 新 時代를 叡智한 國際法學
...문제를 우리나라의 헌법 질서와 연계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쟁법 혹은 무력충돌법 분야는 1907년 논단에서도 평시 국제법과 분리되어 인식되었다. 무력충돌법은 1950년대에는 국제 인권법 분야로 인식되었지만 1980년대에는 국제 인도법 분야에서 다루어졌고, 식민지 해방, 인민 자결권 행사와 관련해서 비국제적 무력충돌이 다루어졌다. 또한 미국의 예방전쟁론의 정당성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논문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해양법 분야에서는 해양환경 보호, 대륙붕 경계 획정이나 배타적 경계 획정에 관한 사항이 다루어졌다. 동북아시아에서 해양법의 중요성은 지금도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9/11 테러가 발생하기 훨씬 이전에 테러에 관한 사항이 논의된 점이나, 우주법에 관한 사항도 1965년에 소개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1907년에...
[학술논문] 경찰활동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효과성과 공정성 인식이 경찰지지에 미치는 영향
형사사법기관은 공정한 사회 구축을 위해 절차적 공정성을 보장하고 효과적인 법집행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더구나 형사사법시스템의 최일선에 해당하는 경찰활동의 효과적이고 공정한 법적 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지역사회 시민들이 겪고 있는 경험적 문제를 판단하여 더 합리적이고 공평한 법집행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활동의 효과성과 정당성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이 경찰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지지에 대해 알아보고, 경찰활동의 효과성과 공정성을 확인한 후에 전반적인 경찰활동에 반영하고자 한다. 이는 경찰활동에 있어서 북한이탈주민의 협력과 참여를 유도하고, 모든 사회구성원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와...
[학술논문] 침략범죄 대응의 새로운 국면과 과제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국제형사법적 시사점-
...갖는 침략범죄의 특성상, 개인을 피해자로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되는데, ICC의 「절차와 증거에 관한 규칙」 제85조(a)에 대한 문언적, 역사적 해석에 인권 보호에 터잡은 목적론적 해석을 종합하면, 개인의 피해자성을 인정해야 한다. 아울러, 피해자 지원의 실효성과절차상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ICC의 인적·물적 인프라 및 노하우를 활용할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이번 전쟁으로 국제사회는 침략범죄에 대한 대응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이 사안에 대한대응 방식이 향후 국제형사사법시스템의 실효성과 정당성, 그리고 나아갈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만큼, 가치지향적 접근에 기초한 정치한 법리 해석과 실천적 적용을 통해, 로마규정에 담긴 인류공통의 정의와 평화에 대한 열망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