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리스크가 한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건연구
한국 주식시장은 개장 이후 현재까지 북한리스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건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북한리스크가 한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효율적 시장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간접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사건에서 북한리스크로 인한 누적초과수익률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효율적 시장가설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차 핵실험과 3차 핵실험의 경우 사건에 대한 정보가 시장에 미리 반영되는 특징에 맞게 사건 전 누적초과수익률이 상승 또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사건이 발생한 후에는 모든 정보가 충분히 반영되어 누적초과수익률의 변화가 이전보다 줄어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갑자기 발생한 사건의 경우에도 사건이 발생한 이후의 누적초과수익률의
[학술논문] 북중 국경무역의 추이 분석과 정책 방안
본고는북한과중국의성(省)별교역의현황과추이를고찰함으로써양자간무역구조를분석하고동북아경제공동체차원에서국경무역활성화방안을제시하고자한다.북중무역은동북3성을중심으로일부품목에편중되어있으며특히광물성연료,광물유(油),증류물,역청물질,광물성왁스등의수출비중은40%수준에이른다. 북중교역규모가적고정치외교적요인의영향에따라변동성이크지만북중교역과한중교역은동북아지역의경제적균형발전과지역공동체형성을촉진시킬수있도록활성화될수있을것이다.북중교역의중심이되는동북3성의대북교역의품목다변화와교역방식의다양화가필요하다.북한의교역구조는다국적이고복합적으로전환되어무연탄과철강수출에편중된중국의존구조에서전환되어야한다.중국은북중교역의활성화를통해북한의잠재적산업및소비수요를증대시킴으로써대외시장을확대할수있으며장기적으로는북한산업구조의변화에유효한영향력을끼칠수있다...
[학술논문]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 거시경제 안정화
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단계를 통합 이전과 인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합 이후의 단계로 나누어 경제정책의 우선순위를 살펴본다. 독일통합의 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작용을 검토하며, 남북한 통합의 기존연구를 생산요소(노동)에 대한분리와 통합 상황을 서로 비교한 후 거시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논의를 발전시킨다. 이어서 모형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합 전후 남한과 북한지역에서 예상되는 거시경제의 변동성을 살펴보고, 북한 지역의 사회간접자본투자를 위한 지원과 인도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소득지원의 정책이 주요 가격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학술논문] 극동러시아 해외농업개발 활성화 연구
1. 국제 곡물시장 여건은 주요 곡물 생산지에 이상기후 발생빈도 증가, 신흥경제대국(인도, 중국 등)의 곡물 수요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생산 문제 대두 등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진출하고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 극동러시아에는 2015년말 기준으로 13개의 농기업이 진출하여 있으나, 1) 곡물저장 시설의 노후화, 2) 물류시스템의 부재, 3) 저장 및 가공시설의 부재 등의 애로사항이 있다.
3.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극동러시아의 농업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농산업복합단지 구축, 곡물터미널 및 곡물엘리베이터 구축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지표수문해석모형을 이용한 남북한 수문순환 비교 평가
...남한에서는 증발산률이 20~35%, 북한에서는 25%~ 46%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변동폭은 북한의 경우가 21%로 남한의 15%에 비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셋째, 토양수분 량의 경우 남한의 평균이 34%, 북한의 평균은 27%로 남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출률과 증발산률의 모의 결과와는 달리 토양수분은 전 기간에 걸쳐 남한과 북한이 변동성 차이가 8% 내외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특히 북한의 산림파괴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90년대 이후 남한과 북한의 수문순환 특성의 차이가 확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한의 경우에는 유역별 수문순환 특성의 차이가 미미한데 비해, 북한의 경우에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역시 산림파괴의 영향 차이가 반영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