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ㆍ25전쟁시기 한국군의 식량보급 실태 - 다부동지역 전투를 중심으로 -
...이러한 양곡은 인원을 기준으로 하여 소요량을 하급부대에서 상급부대로 청구하였고, 수령은 상급부대에서 하급부대로 보급하는 방식이었다. 국군은 개전당시 충분한 양의 양곡을 보관하고 있었다. 하지만 초기 철수작전의 실패로 인해 많은 양의 양곡을 망실하여 차후작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다부동 지역에서 1사단의 군수보급계획은 미흡하였고 더구나 북한군이 1사단의
보급로를 차단함으로써 군수보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량을 청구하는 과정과 분배하는 과정에서 소요량에 비해 많이 청구하고 적게 분배하는 부정이 발생하여 식량보급체계의 붕괴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주먹밥 등의 대용식량으로 변화 되었지만 여전히 전투현장에 있던 병사들은 굶주림과 배고품으로 시달려야 했다. 또한 부족한 식량보급을 대체하기 위해 민간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