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부모-자녀관 연구
...국가가 지었던 책임을 가정으로 전가하였다. 북한 사회의 변화과정은 북한식 사회주의와 수령 중심 국가 가부장제라는 독특한 사회구조를 만들어왔고, 이는 가정 내의 전통적 가부장제를 더욱 강화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북의
부모-
자녀관은 연령 및 성별보다 지역 및 계층별 차이가 컸으며, 일반적으로 여전히 전통적 훈육방식과 효 관념을 상호수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난의 행군 이후 경제 상황의 변화로 가정 내 여성의 위상이 높아졌지만,
부모-자녀 사이의 가치관 변화는 두드러지지 않은 것이다. 또한
부모에 대한 효성이 가정 내에서는 더욱 확고하게 다져지는 반면, 국가를 향한 충심은 이전보다 약화되어 국가 체제 이데올로기와 현실 세계의 가치관은 더 큰 간극이 생성되고 있었다. 북한 사회는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에...